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0.99999…로 소수점 아래 수가 무한히 이어지면 1이 될까요? 아니면 1보다는 작고 0.99999…보다는 큰 수가 따로 있을까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등비수열과 그 합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게요. 이와 같이 수열의 항이 1/10배씩 줄어들면, 초항이 0.9고 등비가 1/10인 등비수열이 돼요. 0.99999…는 이 등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하는 저자의 바람이 담겨있다. 그는 독자들이 이런 화학의 매력을 느낄 수 있게 이번 책을 보다 쉽고 자세히 집필했다. 여 교수는 “원소 기호는 자연의 알파벳”이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알파벳이 모여 단어를 이루고, 단어가 모여 문장을, 문장이 모여 문단, 문단이 모여 글이 되듯, 자연의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위한 필요조건인 셈이다. ‘과학의 눈’이야말로 이 필요조건을 가장 잘 충족시킨 책이다. 가시 스펙트럼 너머의 복사선은 빛의 속도로 지나가고, 지구 밖에서 온 입자들은 버터를 자르는 뜨거운 칼보다도 쉽게 우리 몸을 관통한다. 전기장과 자기장이 우주의 모든 공간을 가득 채운 까닭에 무수히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그 중간 생성물인 활성산소가 많이 만들어져 세포의 노화로 이어지는 것이다. 정 교수는 책을 통해 혈당지수가 높은 단순 당을 최대한 피하는 식습관으로 노화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과일, 채소, 견과류 등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 ...
- “기후위기 대응책 뒷전, 최우선 과제로 끌어올리고파”_조천호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알았죠. 하지만 한국과 국회의 기후변화 대응은 낙제점입니다. 국제적으로 한국은 책임져야 하는 나라임에도, 한국 내 이해관계에 얽혀 행동으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저는 저희가 안전하게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세대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기후위기에 대응하지 못한다고 모든 ...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에 따라 우리 시는 우나 시스템의 통신이 복구될 때까지 비상 절약을 통한 시민 보호 정책을 개시하기로 했습니다.”사람들은 여전히 웅성거렸으나 그 소리가 상당히 수그러들었다. 시장은 만족스러운 듯 손을 뻗어 청중을 달래듯 허공을 툭툭 치는 제스처를 보였다.“우나 시스템의 통신 두절 ... ...
-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허가받기도 했지요.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면 운전자는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책을 읽거나 유튜브 영상을 보는 등 운전 시간을 여가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서울시는 “자율주행 차량이 일상으로 완전히 들어오면 운전자는 운전할 때 다른 일을 할 수 있어 하루 평균 50분, 1년엔 12일의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쓴 책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후 1202년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자신의 책 에 피보나치 수열을 소개해 유명해졌습니다. 그는 어느 날 토끼가 새끼를 낳고 번식하는 모습을 보다가 호기심을 갖고 한 문제를 만들었어요. ‘갓 태어난 토끼 한 쌍이 있다. 이 토끼 한 쌍은 두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실제 연구비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지원받는지, 국가의 과학정책에 따라 과학기술의 전 경향은 어떻게 변하는지 등이죠. 이 모든 이야기는 하나의 키워드 ‘돈’에서 출발합니다. 네, 우리의 김공룡 박사를 눈물짓 게 만든 그거요. 연구의 시작과 끝에는 ‘과제’가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원리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한 신의 역할을 “수학적 원리”로 설명해 낸 책이 프린키피아였다. 즉, 뉴턴의 입장에서 신의 존재는 과학과 대립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신이 창조한 자연을 법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동기의 원천이었다. 의혹 3. 뉴턴은 사이비 과학인 연금술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