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골드수소, 단서를 포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있는 여러 방법을 써요. 탐사기기로 땅속 모습 예측하기 층마다 다른 흙과 돌로 이뤄진 지구 케이크를 포크로 찌른다면 안에 어떤 재료가 있는지에 따라 닿는 느낌도 다를 거예요. 흙만 있는 곳은 부드럽고 돌이 많은 곳은 딱딱할 테니까요. 이처럼 구멍이 많은 암석이 모인 땅, 갈라져 있는 땅, ... ...
- [천문학자] 물체를 바라보는 각도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사람들은 우주가 그렇게 큰 공간일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죠. 두 번째로, 브라헤는 지구와 별이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면 별의 실제 크기도 보기보다 훨씬 더 클 거라고 생각했어요. 대략 계산해 보니, 별의 크기는 태양보다도 컸죠. 당시 사람들은 태양이 가장 크다고 생각했기에 브라헤의 계산을 ... ...
- [가상인터뷰] 유로파에서 하루 1000t의 산소가 쏟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0t의 산소가 만들어지는 거야. 산소가 있다는 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사람이나 동물 등 지구에 사는 생명체가 우주에 살기 위해선 여러 가지가 필요한데, 그중에서도 숨을 쉬는 데 쓰이는 산소는 필수 요소야. 그래서 과학자들은 산소가 있는 행성을 계속 탐색하고 있지. 지난해 9월에는 유로파 ... ...
- [기획] 골드수소, 탐사가 시작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주변 생태계도 파괴될 수 있어요. 또 골드수소를 연료로 쓰기 좋게 처리하는 과정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골드수소 자체는 깨끗한 에너지원이지만, 골드수소를 산업에 활용하는 과정이 100% 청정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는 거지요. 지하에서 뜨거운 물을 끌어올려 ... ...
- [특별한 수학] 꼬마 먼지, 우주 여행을 떠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나는 지구의 조그마한 꼬마 먼지, 지지야.얼마 전 우리 동네에 새 친구가 이사를 왔는데, 글쎄‘우주’에서 왔다지 뭐야!친구가 살다 왔다는 우주라는 곳이 무척 궁금해졌어.나도 우주로 여행을 떠나고 싶어!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Part1.Part2.Part3. ...
- 놀러 갈 준비 3. 천재 수학자들의 우주 관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수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00년대에 수많은 별을 최초로 발견하고,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이를 위해 매일 밤하늘을 관찰했는데, 조그마한 별을 자세히 보기 위해서 망원경을 직접 개량★했지요. 이전에 쓰이던 망원경은 물건을 실제의 3배까지 크게 볼 수 ... ...
- [핫이슈] 소떡소떡? 소쌀소쌀! 지구를 지키는 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얻으려면 최소 1~3년이 걸리는데, 소쌀은 104~260일이면 만들 수 있어 생산기간도 짧았어요. 지구에 피해를 적게 주면서 동물성 영양분도 얻을 수 있는 미래 식품 후보인 거예요. 가격도 일반 쌀과 비슷한 정도로 예상되어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내다봤어요. 소쌀 100g을 먹으면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슬기로운 탄소 배출 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WWF)에서 주관하는 캠페인으로, 매년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저녁 8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지구를 위해 잠시 전등을 끄는 날이에요. 반 학생들과 함께 어스 아워 캠페인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10분 정도 불을 끄고 우유를 마셔 보기도 했답니다. 간접 배출뿐 아니라 온실가스의 직접 배출을 줄이기 위한 ... ...
- 놀러 갈 준비 1. 우주, 얼마나 넓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거리로, 약 6만 3241AU예요. AU / 천문단위우주에서 거리를 잴 때 쓰는 단위예요.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로, 약 1억 4959만 7871km예요. 무한무한은 한계가 없다는 뜻이에요.수학에서는 기호 ∞로 나타내요.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수보다도 크지요.우주처럼 끝을 모르는 거대한 것을 ... ...
- [과학뉴스]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달 남극에 누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가장 핵심적인 장비는 SCALPSS라는 고성능 카메라로, 오디세우스는 로켓에서 분리된 직후 지구와 착륙 전 달 표면을 이 카메라로 찍어 전송했습니다. 이후 2월 28일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오디세우스의 통신과 태양광 발전이 불안정해져 임무 기간이 짧아졌다”고 밝혔습니다. 달 남극은 분화구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