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파망원경"(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013년 12월 달 표면에 착륙한 중국의 창어 3호는 달에서 아주 특별한 사진을 찍었다. 달 탐사선이니 당연히 달 표면의 돌멩이 등을 촬영했을 것 같지만 이 탐사선의 카메라는 달 표면이 아닌 하늘로 향했다. 심지어 태양계를 벗어난 먼 우주에서 날아오는 빛을 담았다. 큰곰자리 방향의 한 천체에서 ...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별에서 발생한 150TB(테라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를 수집했어. 이후 연구팀이 개발한 AI로 전파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했지. AI는 300만 개의 신호 중 지구에서 인간이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GPS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제외한 2만 개의 신호를 추려냈어. 그리고 이 중에서도 8개의 신호를 ‘생명체가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남극 하늘, 저 멀리 하얗고 동그란 무언가가 떠 있다.자세히 살펴보니 물체는 점점 더 높이 올라간다.남극 황제펭귄의 눈에는 달이나 UFO처럼 보일 지 모르나, 실은 풍선이다. 그것도 고가의 망원경을 매단 풍선. 과학자들은 크고 튼튼한 풍선을 만들어 대기권 너머 우주를 바라보고 있다. ▲ 12월부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규모에 걸맞게 매우 멀리 떨어진 희미한 전파 신호까지 포착한다. 2020년 천문학자들은 이 전파망원경으로 지금껏 몰랐던 거대한 구조를 우리 은하 바깥에서 발견했다. 그들은 우리 은하 중심에서 약 7만 2000광년 떨어진, 둥글고 길게 이어진 새로운 가스 구름을 새로 찾았다. 이 가스 구름은 기존의 ... ...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인류의 과학은 마침내 블랙홀을 사진으로 찍는 데 성공했다. 밀리미터 파장을 가진 전파를 감지할 수 있는 여러 대의 전파 망원경을 결합해 블랙홀을 사진으로 포착한 것이다. 인간은 보라색보다 파장이 더 짧은 자외선이나, 빨간색보다 파장이 더 긴 적외선 너머는 맨눈으로 보지 못한다. 전자 ...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DART 팀의 일원인 웬디 칼드웰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연구원은 대학원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하면서 소행성 연구를 시작했다고 해요. 그때 연구했던 소행성은 ‘16 프시케(16 Psyche)’로, 알려진 소행성 중 17번째로 크고 10번째로 무거운 소행성이지요. 당시 NASA에서 16 프시케를 수학적으로 모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태양 폭발을 두 눈으로 마주하세요!”핍은 호객꾼의 외침이 쓸데없다고 생각했다. 좌석은 이미 만석이었다. 특히나 태양을 정면으로 마주한 42-31 소행성에는 사람들이 바글거려 발디딜 틈도 없었다. 우주복 겉에 두른 레이스 장식들이 밀려온 태양풍에 나풀거리고 있었다. 티켓값만 해도 아파트 ... ...
- [특집] 우주에서도 그림자 발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과학자로 이뤄진 ‘사건지평선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이 세계 곳곳에 있는 8대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관측에 성공했지요. 블랙홀은 우주에서 가장 빠르다는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중력★이 강한 천체예요. 어떤 물질이 블랙홀 주변으로 다가가면 매우 빠른 속도로 블랙홀 주변을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요. 지난 5월, ‘사건지평선망원경’ 연구팀은 전 세계에 있는 전파망원경 8대를 연결해 ‘궁수자리 A*’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2019년 공개된 블랙홀 ‘포웨히’ 이후 두 번째로 촬영된 블랙홀이었답니다. 자, 그럼 여기서 퀴즈! 여름철 남쪽 하늘, 우리은하의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편집자주. 우연히 블랙홀과 함께 밥을 먹을 순 없겠죠? 이해를 돕기 위해 블랙홀이 항성을 흡수하는 과정을 식사에 빗대 설명했습니다.블랙홀과 식사를 함께했다. 더 알아가고픈 사람이 있을 때 우리는 함께 밥을 먹는다. 식탁 위에선 상대가 어떤 사람이고 뭘 좋아하는지 속속들이 알 수 있다. 그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