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앞뒤"(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익재 중입자치료센터장은 “다른 암과 달리 전립선 암의 경우 다른 ‘정상 장기’가 앞뒤에만 있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몸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 중입자 치료 때도 가급적 정상 장기를 피해서 입자를 쏘는 것이 좋다. 전립선은 바로 앞에 방광이, 그 뒤에는 직장이 있을 뿐 오른쪽과 왼쪽에 ... ...
- [미궁 1004] 미지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크기는 주사위 한 면의 크기와 같다. 이 주사위를 숫자판 1 위에 얹은 다음, 좌우 또는 앞뒤로 넘어뜨려서 그 주위 칸으로 주사위를 움직이자. 주사위는 판의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이 게임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가 존재할까? 만약 존재한다면 해당 경로에 대해서 주사위가 9번째, 18번째, 2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어떻게 다른지 한번 살펴보세요.” 빙해 수조를 빙 둘러 걸으며 살펴본 모형선의 앞뒤는 확연히 다르게 생겼다. 배의 앞부분은 배 밑바닥까지 이어지는 곡선이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다. 전문가들은 이를 ‘선수가 많이 누워있다’고 표현한다. 쇄빙선이 얼음을 깨는 방식은 크게 두 개로 나뉜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인 드라이버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푹신한 베개 위에 떨어뜨리면 깨지지 않는 것과 같은 이유예요. 일반적인 자동차 앞뒤에 있는 범퍼도 충격을 받으면 찌그러지면서 에어백처럼 충돌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해요. 그럼 자동차에 탄 사람이 받는 충격력이 줄어 덜 다치게 할 수 있지요. 통합과학 넓히기드라이버의 생명을 지키는 장치, ... ...
- [도전! M 체스마스터] 직선으로 한 번에! 탑 모양의 ‘룩’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어느 정도 진행돼 병사의 수가 줄었다면 탑 모양의 ‘룩’이 강력한 힘을 발휘해요. 룩은 앞뒤와 양옆 직선 방향으로 멀리까지 움직일 수 있어서 상대편 진영에 빠르게 도착하지요. 아래 체스판으로 룩의 행마법을 연습하고 체스 마스터에 도전하세요! M 체스 세계의 전술 , 행마법!탑 모양의 룩은 ... ...
- [특집] 체스문제, 직접 풀어 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가운데를 제외한 모든 칸을 한 번씩 방문하도록 화살표를 그려보라고 했지요. 나이트는 앞뒤 좌우 중 한 방향으로 한 칸 움직이고, 그 방향의 대각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한 칸을 더 움직이는 기물이에요. 체리와 스론은 먼저 나이트를 위로 한 칸, 오른쪽 위 대각선으로 한 칸을 움직여 b3의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8장.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자연수 3은 11이므로, Halt(P, 3)은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이렇게 쓰고 보니 쉼표 앞뒤로 들어오는 값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둘 다 0과 1의 나열에 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Halt 프로그램의 두 입력값이 동일한 경우도 고려할 수 있겠어요. 그러나 이곳에 모순의 씨앗이 숨어 ... ...
- [4컷 만화] 폼페이 유적지 지킴이 로봇 개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우리나라 현대자동차의 네 발 달린 로봇이죠. 스팟은 360°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로 앞뒤 양옆을 모두 촬영하며 유적지를 스캔해요. 스캔한 이미지를 로봇 안에 있는 소프트웨어로 보내면 소프트웨어가 유적지의 입체 지도를 그리지요. 이를 로봇 밖의 컴퓨터로 전송하면 사람들도 지도를 볼 수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지수가 설명해주었다. “찰과상이래. 근육들이 놀라서 당분간 쑤시듯이 아플 거래. 너 또 앞뒤 안 재고 달리다 넘어졌지? 그러다 차라도 치이면 죽어.”“오토바이였어. 잘 피했고.”지수가 한숨을 쉬었다. 그래서 나는 말했다. “미안해.”하지만 나로서는 도저히 지나칠 수 없는 일이었다. 나는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누르자 로봇이 명령에 따라 실험을 시작했어요. 켐봇은 회전 축이 6개로 이뤄져 좌우, 앞뒤, 위아래로 관절에 따라 움직였어요. 켐봇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실험하는 장면에 기자단 친구들은 눈을 동그랗게 뜨며 집중했지요. 켐봇은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와 화학과가 공동연구해 만든 로봇이에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