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
해동청
바다매
d라이브러리
"
송골매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시속 400km에 달하는 빠른 속도로 사냥을 하는 매가 대표적이랍니다. 우리가 흔히
송골매
라고 부르는 새지요. 수리과에는 속도보다는 순발력을 이용해서 사냥을 하는 참매가 대표적인 새랍니다. 예전에는 매과와 수리과 두 종류를 다 사냥에 이용했지만 현재는 환경 변화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도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휘파람새 소리를 들려줬더니 역시 바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휘파람새의 최대 천적인
송골매
의 소리를 녹음해 틀어놓으면 어느 지역의 휘파람새건 하나같이 모두 이를 듣고 숲속으로 숨어버린다.중부지방 휘파람새의 소리는 남부지방 휘파람새에게는 사투리다. 하지만 실험결과에서 나타났듯이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바다 위에서 상승기류를 이용해 장시간 떠있는다.반면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는
송골매
나 점보 비행기처럼 짧고 넓은 날개를 가졌다. 이런 날개는 오랜 기간 활공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하늘 높이 떠있기 위해서 날갯짓이 많이 필요했을 것이다.익룡은 땅 위에서 어떻게 생활했을까.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낳은 알들은 껍질이 부드러워 쉽게 깨졌기 때문이었다. 결국 부화율이 현저하게 떨어진
송골매
는 사라지고 말았다.사람의 몸에도 먹이사슬을 통해 건너온 DDT와 같은 화학물질이 쌓였다. 카슨은 ‘침묵의 봄’에서 “인간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나이를 먹어 죽을 때까지 화학물질의 속박에서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때는 시속 3백49㎞로 난다. 1.5㎞에서 수직으로 떨어질 때는 더 빨라서 시속 3백70~3백86㎞.
송골매
는 반음속으로 먹이를 낚아채는 것이다.반면 가장 느린 새는 미국산 딱따구리. 계속 날아도 시속 8㎞ 정도 밖에 날지 못한다.가장 빠른 파충류는 6줄이 있는 도마뱀. 시속 29㎞의 속력을 낸다.가장 빠른 ... ...
한국항공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글라이더서클, 1주일에 한번씩 정기훈련을 하고 있다. 이밖에도 행글라이더를 다루는
송골매
는 주로 인천 앞바다 영종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모형항공연구회는 14년의 전통을 갖고 있는 서클로서 모형비행기를 제작하고 조작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1952년 교통고등학교 부설 2년제 특설항공과로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