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
해동청
바다매
d라이브러리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남쪽 전역으로 흩어져요. 연구팀이 35마리의 유전체를 분석하니, 더 멀리 날아가는
송골매
일수록 유전자 ‘ADCY8’이 강하게 발현되는 것으로 드러났어요. 이 유전자는 다른 동물에게서는 장기 기억 발달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를 통해 연구팀은 철새가 이동 경로를 기억하는 데 ADCY8이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하야부사 2호가 탐사한 류구는 우리 태양계에 존재하는 많은 소행성과 비교해 뚜렷한 차이가 없는 평범한 소행성이에요. 그런데 하야부사 2호가 류구를 탐사하게 된 이유가 있다고 해요.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소행성은 태양계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자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의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
송골매
’라는 뜻이에요. 순식간에 소행성 표면에서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이 마치
송골매
가 먹이를 잡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이름이 붙은 하야부사 2호, 무슨 일을 했을까요? 작년 12월 6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호’가 거리는 장장 52억km, 시간은 6년에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소용돌이 기류에 변화가 커졌고, 이 변화는 양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송골매
는 날갯죽지 근처 깃털을 이용해 고속 비행 중에도 안전하면서 빠르게 상승하면서 방향을 트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기류 등으로 비행기의 속력이 갑자기 빨라질 때 이를 감지하고 속력을 다시 줄이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송골매
- 240923 - 1
탐사기록
l
20240923
...
송골매
- 240731 - 1
탐사기록
l
20240731
소리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송골매
- 240617 - 1
탐사기록
l
20240617
...
송골매
- 240609 - 2
탐사기록
l
20240609
...
송골매
- 240609 - 1
탐사기록
l
20240609
공작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