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실태를 한눈에 보여준 줄무늬,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뇌 구조를 개별 뉴런 단위로 그린 트랙토그램(tractogram)은 ‘과학의 눈’으로 포착한 경이로운 이미지 150여 개의 일부다. 이 이미지들에서 시작된 과학적, 사회적 변화까지 함께 읽으면 ‘과학의 눈’은 우리의 눈이 ... ...
-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대뇌 전두엽 근처의 산소량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어요. 뇌의 산소량이 많아졌다는 건, 뇌세포가 활성화되면서 근처의 혈액이 더 빠르게 흘러갔다는 의미예요. 다만 연구팀은 “계산 능력이 향상될 정도로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지요. 기업이 만든 이색 껌에는 어떤 것이 ...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BCI를 개발하는 기업이나 연구소는 뇌 신호의 보안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또한 뇌 신경회로를 조절하는 BCI 기술이 남용되거나 오용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원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전자 마약 등 위험한 목적으로 사용된다면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인지 기능을 증강하는 ...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속한 영장류를 복제한 건 처음이었죠. 연구팀은 “복제 원숭이가 파킨슨병 같은 인간의 뇌 질환을 연구하는 데 사람을 대신해 쓰일 수 있다”고 전했어요. 장구 교수는 “원숭이 등 영장류는 질병이나 유전자 기능에 있어 사람과 차이가 적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복제 기술은 장기 이식용 ... ...
- [특집] 도파민 중독 시대... 모든 길은 소셜 미디어로 통한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새로 업로드된 소식만 확인하겠다고 생각했더라도 ‘하나만 더 보자’는 속삭임이 뇌 속을 울린다. 이렇듯 해야 하는 일이나 공부를 미뤄 둔 채 소셜 미디어에 갇혔다면 나는 정말 ‘도파민 중독’일까? 도파민 중독이 정말 존재하는지, 어떤 요소들이 소셜 미디어로 우리를 잡아끄는지 살펴봤다. ... ...
- OUTRO 탈출 도파민 중독! 도파민 디톡스 앱 사용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높은 빈도로 도파민을 반복적으로 분비하게 만들기 때문에 뇌의 보상회로를 ㅁ빠르게 강화하죠. 여기서 벗어나려면 ‘나만의 롱폼 미션’에 도전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1분짜리 게임을 10개 하는 것보다 10분 동안 풀어낸 수학 문제에서 오는 기쁨에 가치를 두는 일입니다.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코르티솔이 분비됐습니다. 코르티솔은 암컷 물고기의 온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뇌에선 대장 수컷처럼 지배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호르몬 이소톡신이 분비되게 하고, 생식샘에서는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막았습니다. 또, 암컷의 난소를 유지하는 유전자는 ... ...
- [에디터 노트] 도파민도 인스턴트 시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나하나가 유튜브 영상 추천 알고리즘을 바꿔나가듯, 내게 노출된 자극 하나하나가 내 뇌 속의 보상회로를 바꿔나갑니다. 그런 의미에서 3월호 과학동아는 여러분에게 어떤 자극이 될지 궁금합니다. 건강한 도파민이 샘솟는, 이해할수록 재밌고 과학에 대한 더 깊은 관심으로 이어지는 콘텐츠면 ... ...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더 가까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이 우리의 도파민을 어떻게 자극하는지, 우리 뇌가 이런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야 하는 이유다. 그 이유를 PART 2와 PART 3에서 각각 알아본다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지만 어려움이나 노력 끝에 얻은 보상과, 즉각적인 보상은 다르죠. 즉각적인 보상은 뇌에 영향을 주거든요. 청소년기 즉각적인 보상이 너무 쉽게 주어지면 성인이 돼서도 그 굴레에서 벗어나기 힘듭니다. ‘만족지연보상’이라고 불리는 지연된 보상을 위해 노력하고 또 지연 과정을 감내하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