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루분"(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재료를 입체로 쌓아 올려 손쉽게 원하는 모양의 물건을 만드는 3D 프린터. 3D 프린터로 음식도 프린트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음식을 직접 손질하거나 조리하지 않고도 먹고 싶은 음식을 필요한 만큼만만들어 먹을 수 있는 식품 프린팅 기술을 소개합니다! 우주식량? 고기? 프린트해서 먹는다 ... ...
- [특집] 꿀벌을 지켜 줘, 농도 괴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으앙~. 콜록콜록. 먼지 때문에 꽃을 찾을 수가 없어.”과수원을 돌아다니던 작은 꿀벌 한 마리가 비틀거리며 날아왔어요.농도 괴물이 꿀벌을 살포시 껴안으며 말했어요.“과학자들이 꿀벌 실종 사건의 원인을 찾고 있어. 바로 ‘농도’를 이용해서 말이지!” 초미세먼지에 고장 난 ‘꿀벌 네비게 ... ...
- 무지개가 끊어진 곳의 비밀, 과학특성화 중학교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본격 과학 X 추리 X 판타지 소설, 가 나왔어요. 인기 수학 소설 의 과학판인데요. 이 책을 쓴 분이 최근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 신의 한 수 편에 출연해 화제를 모은 닥터베르 작가님이에요. 서울대학교 공학박사님이 집필한 과학 소설! 지금부터 엿보자 ... ...
- [가상인터뷰] 꽃향기를 실시간으로 본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향수, 화장품, 장식용 꽃 등 꽃향기는 인간 삶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끼친다. 이 꽃향기를 눈으로 볼 수 있게 실시간으로 측정한 연구a 결과가 나왔다. 김형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상규 생명과학과 교수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 ...
- [가상 인터뷰] ‘매연 때문에 어질어질’ 길 잃는 나비와 꿀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나비나 꿀벌 같은 ‘화분 매개 곤충’은 꽃에서 꽃가루를 얻고, 식물은 그 덕에 종자를 널리 퍼뜨릴 수 있지. 그런데 대기가 오염되며 이런 공생 관계가 깨지고 있다고 하네! 무슨 이유일까? 과학마녀 일리가 꽃 향기를 맡기 힘들어 길을 헤매곤 한다는 나방을 만나고 왔어. 안녕, 자기소개를 부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스마트폰이 변기보다 7배 더럽다면 그냥 변기가 깨끗한 게 아닐까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스마트폰은 변기 시트보다 7배 더럽다고 합니다. 엘리베이터 버튼은 40배 더럽다고 하죠. 물체 표면의 세균 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라는데, 이쯤 되면 그냥 변기가 깨끗한 편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사실 주변 환경 속 세균이 인체에 얼마나 유해한지 판단할 땐 전체 세균의 수 ... ...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난해 11월, 과학동아는 퍼스널케어 브랜드 쿤달과 ‘과학동아의 향’을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쿤달은 50여 개의 향으로 샴푸, 핸드크림, 디퓨저, 섬유유연제, 칫솔 등을 만드는 기업인 더스킨팩토리의 대표 브랜드다. 얼핏 보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이 두 곳이 어디에서도 시도한 적 없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달 30일엔 박쥐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올해부터 9기 지사탐에 원데이 미션이 생겼어요. 매달 30일에는 우리동네에서 박쥐를 찾아보고 박쥐 기록을 남겨 주세요. 우리나라 박쥐 분포를 조사하고 있는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연구부 류흥진 박사후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 볼까요? 질문1박쥐는 어떻게 탐사해야 할까요?박쥐는 어두운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덥고 습한 날씨에 입맛이 사라진 섭섭박사님! 축 늘어진 채 아무것도 하기 싫은 기분인데…. 도저히 안 되겠다! 섭섭박사님은 맛있는 군것질을 요리하고 겨울 기분도 내보겠다고 결심했어요. 더위야, 물럿거라! 도전실험1분이면 만드는 달콤한 달고나달달한 설탕 냄새가 어디서 나는 거지? 섭섭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한강의 역사는 종종 한반도 문명의 역사와 동일시된다. 물을 쉽게 이용해 선사문화가 탄생했다거나 한강 유역을 차지하는 국가가 가장 번성했다는 식이다. 하지만 인류가 한강을 목격하기 훨씬 이전부터, 심지어는 인류가 존재하기 전부터 한강은 한반도를 흘렀다. 한강 역사의 첫머리는 땅이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