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각
파편
도막
동강
단편
구
연어
d라이브러리
"
토막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
수학동아
l
201504
것 같다고 했던 독자기자까지도 연필꽂이를 완성했다. 어떤 독자기자는 같은 개수의 나무
토막
으로 지우개함까지 만들었다.튼튼한 구조의 기본은 삼각형“정다면체가 뭔지 아는 사람?”“모든 면이 합동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모서리 수가 같은 입체 도형이요!”“맞아요. 그럼 정다면체 중에서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10
정도로 가볍다. 남한보다 큰 얼음덩어리가 마치 나무
토막
처럼 뜬다고 생각해보자(나무
토막
의 밀도는 물의 70%). 그런 천체 수만 개가 우주를 맹렬히 돌고 있다니 신기하지 않은가. 내가 가서 그 모습을 눈으로 똑똑히 확인하면 좋겠다.나는 이제 곧 해왕성 궤도를 벗어나 명왕성의 가시권에 들 것이다.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
과학동아
l
201408
땅 이 울렸다. 번쩍하며 섬광이 이는 듯 싶더니 공중에 떠 있던 아군 헬리콥터 한 대가 반
토막
이 나 곤두박질쳤 다. 데슬레이터의 플라스마 빔이었다. 즉시 방위군의 미 사일 반격이 시작되면서 전선은 굉음으로 뒤덮였다.“결국 왔군. 출동합시다.”사령부의 준비 명령이 떨어지자 장갑차,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12
‘관찰’이 선행되어야 하잖아요?”“그렇지. 그래서 에 대한 정보 한
토막
을 찾는 게 우선이야. 누군가가 이라는 이름을 기억하고 있으면 그 정체에 대해서 조금 더 알고 있는 사람을 찾을 수 있잖니? 그런 식으로 을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다음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외국 과학잡지 등을 구해다가 직접 연구했다. 개울에 배를 띄우고 싶으면 직접 나무
토막
을 끌로 파서 선체를 만들고, 고물상 등에서 전기 모터 등을 구해 프로펠러를 끼워 소형 모터보트를 들고, 소형 비행기를 하늘에 띄워 보곤 했다. 집 옥상에서 로켓을 발사해보다가 폭발사고를 경험하기도 했다.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09
크게 분해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인근지역 해저를 수중 촬영한 결과 나무
토막
유입이 전혀 없었다”며 “나무를 처음봐서 생물이 이용하지 못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8월 14일자에 실렸다 ... ...
과학지가 그리는 물리 통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2
생각해 보세요!그리고 그 방법을 아시면 꼭 저에게 연락 주세요!물 통 퀴 즈자석을 반
토막
으로 쪼개면 다시 두 개의 자석이 돼요. 각각 N극과 S극을 가진 자석이 되지요. 반으로 쪼개진 자석은 왜 다시 달라붙는 걸까요? 두 개의 극이 갖는 성질을 이용해 생각해 보세요. 지난 호 정답바람이 세게 불 ... ...
어느 킬러의 인정 투쟁
과학동아
l
201112
그는 일만 있으면 어디든 달려가 초전박살 내는 전문적인 킬러다. 친구가 맡긴
토막
난 시신에서 냄새가 나자 여자친구 집에 가져가 태연히 물로 씻을 정도로 자기 일에 초연함(?)마저 갖추고 있는 위인이다. 그런 그에게도 한 가지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으니 바로 남들이 자기를 싫어하는 것만은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04
계획한 범인은 아예 장갑을 끼고 범죄를 실행하거나, 시신의 지문을 훼손한다. 시신을
토막
내 신원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고, 성범죄 때는 DNA가 남지 않도록 콘돔(라텍스 고무로 만든 피임도구)을 사용하기도 한다. 국과수 화학분석과 홍성욱 박사는 “범인의 DNA 증거물을 채취할 수 있는 사건은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12
“화물이 물에 닿아 썩지 않도록 받침대를 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나무
토막
에 짚을 깔아 도자기처럼 깨지기 쉬운 화물을 고정시켰다고도 주장한다. 나무로 만든 유물들이 어떻게 물속에서 800년 넘게 보존될 수 있었을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차미영 전문위원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