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합함"(으)로 총 1,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한국 호랑이를 지켜라! 백두산 생태통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한국엔 한국 호랑이가 없다?!중국과 러시아가 만나는 중국 길림성 훈춘 지역, 그곳엔 한국 호랑이 약 27마리가 살고 있어요. 본래는 한반도에서부터 러시아까지 이어진 넓은 산지에 한국 호랑이가 정착해 살았지만, 점점 그 수가 줄어들어 한국엔 한 마리도 남아 있지 않아요. 중국 훈춘 지역과 러시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07
- 인류가 최초로 로켓을 우주로 날려 보낸 것은 1957년이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우주로켓과 인공위성, 우주탐사선의 추진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모터와 배터리, 3D프린터, 플라스마, 전자기파 등 우주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기술까지 도입되고 있다.◀ 발사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07
- 지금까지 우리는 협력의 진화에 대해 알아봤다. 그런데 자연에는 또다른 행동이 있다. 내게 굳이 도움이 되지 않음에도 ‘너 죽고 나 죽자’며 상대를 해치는 악의적인 행동이다. 인간 사회에서도 종종 발견되는 이 악의는 과연 진화적으로 탄생할 수 있을까. 무척 흥미롭게도, 프라이스가 재해석한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포유류 잡아먹는 날렵한 벨로키랍토르최근 경상남도 진주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두 발로 뛰며 살았던 포유류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어요. 이 화석의 주인공은 몸길이가 약 10cm로 매우 작고, 뛸 때의 보폭이 약 4cm일 정도로 긴 다리를 가졌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지요. 현생 시대의 캥거루쥐와 비슷할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07
- 안녕하세요. 이스라엘에서 온 보드게임 개발자 하임 샤피르입니다. 저는 늘 창의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일을 해요. 처음에는 그 일에 공학이 적합하다고 생각해 공학을 전공했어요. 그렇게 2년 정도 엔지니어로 일하며 과일을 포장하는 용기를 만들었어요. 이후 더 창의적인 일을 하는 보드게 ...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7
- “조직에서 협력을 높일 방안이요? 칭찬을 공개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죠. 팀에서 써보세요.”과학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가 6월 10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열렸다. 34번째를 맞는 이번 과학동아 카페의 주제는 다윈도 풀지 못했던 생물학 최대의 수수께끼인 ‘협력의 진화’로,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채 9시가 되지 않은 밤이었다. 신도시의 주공 아파트 단지로 우주선 한 대가 진입했다. 인류의 역사에서는 처음 있었던 일이지만 우주선의 크기가 만두 가게에서 쓰는 쟁반 크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게 우주선인지 알아 채고 놀라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심지어 아파트 8동의 경비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06
- 6월에는 유난히 장기간 이동해야 하는 전쟁이 많았다.우리나라만 해도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한국 전쟁이 6월에 발발했고, 약 1500여 년 전에 일어난 고구려와 수나라와의 전쟁 역시 6월이었다. 프랑스와 독일의 전쟁, 노르망디 상륙작전도 6월이다. 6월이 날이 좋아서(?)였을까. 많은 나라들이 6월에 전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06
- 혈연 선택의 창시자 윌리엄 해밀턴에 당돌한 편지를 보낸 조지 프라이스. 그는 집단 선택에서도 작동하는 자신의 이론을 소개하며 해밀턴을 자극했다. 하지만 곧 두 사람의 이론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간단한 사고 실험을 해보자. 여기 ‘선한’ 사람이 있다. 착하고, 이타적이고,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06
- “암세포도 생명인데 죽일 수 없다.”2013년 방영됐던 드라마 ‘오로라 공주(극본 임성한)’에서 수많은 시청자를 ‘멘붕’에 빠뜨렸던 대사다. 혹시 이 대사에 황당함을 느끼셨는지. 하지만 이번 기사를 읽고나면, 어쩌면 묘한 통찰(?)을 담은 대사라는 생각이 들지 모른다. 자연의 생명체들처럼 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