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족관
물새
수금
유리 상자
손톱
조갑
절개
d라이브러리
"
수조
"(으)로 총 253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03
지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면 육상
수조
식 양식과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동시에 명태를 키워낼 계획도 있다. 이대로라면 2020년에는 우리 식탁에 양식 명태가 올라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
과학동아
l
201702
나는 냄새를 모았다. 냄새는 공기 중으로 확산하는 휘발성 분자이므로 마치 물이 가득한
수조
에 잉크방울을 떨어뜨렸을 때처럼 무작위로 퍼진다. 이 때 물건 옆에 탄소막대만 세워 둬도 냄새 분자가 날아와 붙는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종이 냄새처럼 은은한 냄새를 잡기 힘들었다. 그래서 밀폐된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
수학동아
l
201701
포식자를 잘 피할 수 있거든요. 다음에는 크기가 큰 먹이와 작은 먹이를 같은 수만큼
수조
양쪽에 두고 같은 실험을 했습니다.구피는 물고기 수를 잘 구분한다고 해서 먹이 크기를 잘 구분하지는 않았습니다. 어떤 구피는 포식자를 피하는 일에, 다른 구피는 먹이를 구하는 일에 특화됐지요.연구팀은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1701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실은 마치 수산시장을 방불케 했다. 거대한
수조
에 여러 마리의 개구리들이 나눠져 들어가 있었다. 물위에 둥둥 떠있는 개구리들은 마치 죽은 것 마냥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혹시… 죽은 건 아니겠죠?” 조심스레 묻자 권 교수는 “이래 보여도 실험실을 나갈 뻔한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8
부식되거나 망가질 수 있거든요.그래서 바다에서 건진 유물은 우선 증류수가 가득한
수조
에 담가요. 바닷물의 염도는 1만 8000ppm 정도예요. 수돗물은 100ppm 미만, 증류수는 5ppm 미만이지요. 유물을 담가 둔 물의 염도가 수돗물 수준이 되면 탈염이 완성돼요.탈염을 마친 뒤에는 X-ray로 유물의 내부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4
공동 연구팀은 갑오징어의 은신 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했어요. 연구팀은
수조
안에 있는 갑오징어에게 상어의 그림자가 점점 다가오는 영상을 보여 줬어요. 그전까지 지느러미를 살랑거리며 편안하게 움직이던 갑오징어는 상어 그림자를 발견하자 모든 움직임을 멈추고 촉수로 몸에 있는 ... ...
[가상인터뷰] 찌릿찌릿~, 전기뱀장어가 공격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발표된 적이 없기에 카타냐 박사는 흥미를 느끼고 악어 머리 모형과 사람 팔 모형을
수조
에 넣어 봤어요. 그러자 전기뱀장어는 격렬하게 뛰어올라 이것들을 공격했지요.카타냐 박사는 전기뱀장어가 물속에서 전기를 뿜으면 전기가 분산되지만, 뛰어올라 직접 공격하면 전기를 한곳에 집중시켜 더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2
사람 머리만 한 돌을 한 손으로 거뜬히 들었다. 이 책임연구원은 기자에게 돌덩어리를
수조
속에 넣어보라고 했다. 설마 했지만 속는 셈치고 그의 말에 따랐다. 잠시 뒤 기적이 일어났다. 돌이 물 위에 떴다(아래 사진). “서기 939년이나 946년 천지 아래에 있던 마그마가 폭발하는 순간에 만들어진 ... ...
[과학뉴스] 곤충, 날개 위 소용돌이 유지해 ‘슝~’
과학동아
l
201612
박각시나방을 본 따 크기가 5배인 ‘날갯짓 로봇’을 제작했다. 그리고는 물을 채운
수조
에 로봇을 넣고 주변 유체의 움직임을 분석했다.연구팀은 곤충 로봇이 날개를 파닥일 때 발생하는 소용돌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양력이 최고 두배까지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곤충의 날개 길이가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
과학동아
l
201610
인이나 질소를 더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지 실험으로 확인했다. 물고기를 크기에 따라
수조
에 30분 동안 넣었다가 뺀 뒤 물속의 인과 질소의 양을 쟀다. 그 결과 물고기들은 몸집에 비례하는 양만큼 질소를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교수는 “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