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스"(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07
-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서 28일간만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미국 UC데이비스 파브로 로스 교수는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물론 우리는 이것이 사람의 뇌로 자라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생각하지만, 반드시 조사해 봐야 할 부분”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박정규 교수 역시 “기초연구가 좀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06
- 동물이 가진 생체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만들어 장치에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이에로풀로스 교수팀은 미생물연료전지를 더 최적화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현재 시스템의 최대 효율은 96% 정도. 이보다 높은 효율이 지속적으로 나와야만 실제 응용이 가능하다.“갈 길이 멀지만, 언젠가 배터리를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수학동아 l201606
- 주는 실베스터 메달도 받았습니다.맥밀런 암 지원센터 대변인은 “클라우스 로스의 고마운 선택이 암과 사투를 벌이는 많은 가족들에게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발견한 RNA의 기원과학동아 l201605
- 가했다. 그 결과 리보스를 비롯해 리보스와 분자식이 비슷한 당분자(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릭소스)들이 생성됐다. 이로써 우주생물학자들의 오랜 의문인 ‘리보스가 우주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데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4월 8일자에 실렸다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03
- 부른다.고래에게서도 비슷한 행동이 나타난다. 영국 글래스고대 환경및진화생물학과 로스 맥레오드 교수팀은 쇠돌고래(Phocoena phocoena )를 관찰했다(doi: 10.1098/rspb.2007.0786). 새들의 균형 맞추기 행동이 다른 종에서도 나타나는지 알기 위해서 였다. 영국의 일부 해역에서는 병코돌고래(Tursiops truncat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03
- 그려진 유인원의 진화 계통도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다(doi:10.1016/j.cub.2009.05.028). 다빌라로스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간지럼을 태울 때 웃는 반응이 인간과 영장류의 공통 조상에서 시작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유인원과 인간의 웃음에는 공통적인 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 ...
- [News & Issue] WHO, 8大 감염병 지정과학동아 l201602
- ‘감염병 예방을 위한 R&D 청사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목록을 선정했다.WHO의 캐시 로스 정책고문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정된 질병 중 상당수가 적절한 관심이나 재정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여덟 개 감염병의 현재 연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다음 목표”라고 밝혔다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02
- 몰랐던 착시의 비밀사진 제공 및 도움 : 커트 베너, 데이비드 맥도날드, 이스트반 오로스, 레온키어, 코키치 수기하라, 파올로 디 라짜로참고 문헌 : 티파니 잉글리스의 논문 ‘Constructing Drawings of Impossible Figures with xonometric Blocks and Pseudo-3D Manipulations’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01
- 교수, 미국 알링턴 텍사스대 크리스토퍼 스코테스 교수팀. 미국 예일대 지구물리학과 로스 미첼 교수팀의 ‘Supercontinent cycles and the calculation of absolute palaeolongitude in deep time’(네이처), 가와카미 신이치, 도조 분지의 ,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지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01
- 연구가 한창이던 다이서로스 교수 연구실의 분위기를 이렇게 표현했다. 그는 다이서로스 교수 실험실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에 참여하며 광유전학의 발전을 가까이서 지켜 본 산증인이다.“연구실에 간 첫날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저의 멘토인 케이 타이 박사(현재 MIT 뇌인지과학과 교수)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