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있다. 세월호 TF에서 기술검토팀장을 맡은 이규열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도 “
절단
인양은 TF에서 가장 먼저 배제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미수습자 유실 방지 현재까지 세월호 실종자 304명 중 295명이 확인됐다. 남아있는 미수습자는 9명이다. 객실에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을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분해효소는 자신과 똑같이 생긴 ‘쌍둥이’ 분자와 결합한 뒤 단백질에 달라붙어 ‘
절단
작업’을 진행한다. 연구진은 메르스 바이러스의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 표면에 제3의 분자가 달라붙으면서 쌍둥이 분자와의 결합이 촉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부위에 다른 물질을 붙이면 효소의 기능을 ... ...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하나
2015.06.19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원전 해체용 로봇팔. 일반 산업용 로봇팔보다 가늘어 복잡한 원자로 해체 작업 시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 동아사이언스 ... 가지 기술이 필요한데, 이 가운데 21가지를 확보했다”면서 “해체의 핵심 기술인 제염과
절단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
걸을 때마다 빨파녹 빛이 번쩍, 스마트 신발
2015.05.28
“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들은 발에 압력이 고르게 전해지지 않는 경우 발이 썩어서
절단
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더 많은 센서를 연결하면 이런 문제를 예방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한국과 미국에서 특허를 취득한 상태”라고 말했다. ... ...
어둠 속에서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을 보았네
2015.05.17
완성한 사체
절단
전문 연쇄살인범 에드워드 게인이 최고”라며 한 멤버가 떠들면, “사체
절단
이란 행위 자체보다는 범죄 심리에 더 주목해야 옳은 게 아니냐”며 다른 멤버가 빈정대는 식이다. 그리고 스물 몇 페이지 쯤 넘겼을 때 산장에서 첫 번째 희생자가 발생한다. 수전 손택의 책 ‘타인의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해부하다 생긴 일(정민석 著, 김영사 刊) 정민석 아주대 의대 교수는 0.2mm 두께로
절단
한 시신으로 3차원(3D) 인체지도 ‘비저블 코리안’을 만들어 세계적으로 실력을 떨친 해부학자다. 정 교수는 만화를 그리는 교수로도 유명하다. 2000년경 정 교수는 지식을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싶다는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연결해 움직일 수 있는 착용형 로봇 팔 다리도 개발되고 있다. 로봇 팔이나 다리를
절단
부위에 삽입하는 기술로, 팔 다리의 운동뿐 아니라 손가락의 미세한 운동까지도 가능한 정도로 개발되고 있다. 최근 미국 등지에서 개발된 최첨단 의수, 의족은 인체의 팔과 비슷한 무게에 모든 관절의 운동을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3차원으로 분화된 알츠하이머 신경세포 밖에 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붉은색)의 연속
절단
면 영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 5배 빠른 와이파이 등장 삼성전자는 현재 사용하는 와이파이(WiFi)보다 5배 이상 빠른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차세대 와이파이는 초당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진동의 크기에 따라 수 ㎛(마이크로미터)까지 틈이 벌어졌다. 이렇게 틈이 변하면
절단
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 때 전기 저항이 크게 변한다. 이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면 주위의 진동 등 미세한 물리적 변화를 알 수 있다. 최 교수는 “유연한 기판 위에 만들 수 있는 이 센서는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었나
2014.10.23
이 마디뼈를 이 관장이 발굴했던 것이다. 뼈를 맞춰보자 뼈는 물론 뼈의 남은 암석의
절단
면까지 들어맞았다. 이때부터 무려 2년 동안 벨기에 수집가를 설득한 끝에 올해 5월 표본을 몽골로 반환받아 연구를 끝마칠 수 있었다. 마침 지난해 미국의 화석 수집가가 타르보사우루스 화석의 몽골 반환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