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식
지혜
기지
센스
보통생각
일반생각
재치
뉴스
"
상식
"(으)로 총 649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백세 시대 인류가 원시인보다 암울한 이유
2019.01.13
가설 혹은 진화적 불일치 가설이라는 말을 더 많이 씁니다. 불을 피우는 쿵! 산족.
상식
과 달리 수렵채집인의 수명은 현대인에 버금갔다. 아마 구석기 시대 수렵채집인의 수명은 지금의 수렵채집인보다 더 길었을지도 모른다. 위키피디아 인류 역사상 최악의 실수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 ...
[과학촌평]전 원안위원장의 이유있는 ‘후안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받은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보내고 있다. 이른바 ‘윗선의 뒤봐주기’가 없는 상황에서
상식
적·논리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후안무치할 만한 이유가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25개 출연연구기관의 대표격인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원광연 이사장의 원자력연구원 관련 발언과 ... ...
[주말N수학]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2018.12.15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조르당 곡선의 일종인 ‘오스굿 곡선’ 위의 점들을 다 모으면
상식
과 다르게 넓이가 0보다 큽니다. 조르당 곡선의 일종인 오스굿 곡선 위에 점들을 모아 넓이를 구하면 0보다 크다. 이렇게 간단하면서도 복잡한 조르당 곡선에 관한 문제는 어떤 건 쉽게 증명되고, 어떤 건 ... ...
노년의 퍼즐 풀기, 뇌 기능 퇴화 못 막는다
2018.12.12
같은 숫자 게임을 열심히 하면 뇌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는 게
상식
으로 알려져 있다. 뇌 기능에도 안 쓰면 퇴화한다는 이른바 '용불용설'(use it or lose it)이 적용된다고 많은 사람이 생각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노년기에 아무리 머리를 쓰는 활동을 하더라도 뇌 기능 ... ...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12.09
4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등 고급 수학 지식이 가득해, 그저 읽기만 해도 수학
상식
이 업그레이드 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만화 하비영 수학자였던 도진의 아버지도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연구했으나 풀지 못했다. 도진은 문제에 끌리면서도 계속 망설이고 주저한다. ‘어떤 별은 ... ...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2018.11.25
예상한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일본 게이오대 박사과정생 두 명이 그
상식
을 깨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정수론 저널’이라는 수학 학술지에 게재 승인돼 8월 24일 인터넷판으로 공개됐습니다. 히라카와 요시노수케와 마츠무라 히데키가 해결한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정자왕을 꿈꾼다면 꼭 알아야할
상식
과학동아
l
2018.10.27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올랐지만, 한편에서는 임신이 잘 되지 않는 난임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난임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14년 20만8005명에서 2016년 21만9110명까지 꾸준히 늘었다. 과거에는 여성의 생식기능 문제로 난임이 발생한다는 인식이 있었 ... ...
[2018국감]‘셀프임용’한 총장, 자식 학위 준 교수부모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자기 자식을 직접 지도하면서 논문도 쓰고 학위도 주고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
상식
적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4개 과기원에서 최근 5년간 지도교수가 학생의 존속(부모)였던 경우를 조사한 결과, 총 4건(2건은 동일인)이 적발됐다고 밝혔다.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 ...
맥박 세기까지 측정하는 웨어러블 터치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스 터치 센서에는 공기를 포함한 빈 공간이 필요하다는 기존
상식
을 깨고, 센서 내부를 금속 나노입자가 포함된 투명 나노 복합 절연층과 가해진 압력을 집중시켜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나노그레이팅 구조로 채웠다. 그 결과, 볼펜심 수준으로 유연한 굽힘 정도에서도 ... ...
“현대인의 몸은 불규칙한 사회에 아수라장...생체리듬 연구로 극복”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식물이든 빛이 하나도 들지 않는 어두운 곳에 가둬도 규칙적으로 자고 깬다. 여기까지는
상식
이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이해하기 쉽지 않다. 아침에 눈떠 낮에 일하고 밤에 졸음을 느껴 자기까지 복잡한 과정이 겨우 두 개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두 개의 유전자를 직접 분리하고 그 기능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