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학
물리
뉴스
"
물리광학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감’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02.09
지난달 막을 내린 세계 최대정보통신(IT) 전시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17’의 주제는 연결성이었다. 자동차와 드론, 가전을 사용자와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켜주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대단한 기술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단언컨대 ‘이것’이 없이는 인공지능도 ... ...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01.29
GIB 제공 최근 국내 연구진이 광학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돌파구가 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광학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나노레이저의 색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 ... ...
손톱만했던 3D 홀로그램 영상, 2600배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4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3차원(3D) 다중산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로 만든 홀로그램 영상. 3D 공간에 숫자 ‘3’과 알파벳 ‘D’가 띄워져 있다. - KAIST 제공 영화 속 입체 홀로그램의 현실화에 한걸음 다가서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그동안 영상 크기가 작고 시야각이 좁아 상용화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써보니]애플 아이폰7 속속들이 뜯어보기
2016.10.21
아이폰7 플러스를 한 달 정도 썼다. 제품은 첫 출시일에 일본에서 구했고, 리뷰는 더 빨리 시작할 수도 있었지만 애초 더 빠른 리뷰를 위해 아이폰7을 서둘러 샀던 건 아니다. 조금 여유 있게 제품을 접하고자 했던 목적이 더 크다. 이제 아이폰7이 세상에 등장한 지 한 달이 지났고, 10월21일 국내에도 ... ...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미래형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 컴퓨터’ 실용화를 앞당길 차세대 반도체 원천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피라미드 모양의 고효율 ‘양자점(Quantum dot)’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자점은 광자(빛의 입자)를 내뿜는 나노미터(nm·10억 분의 ... ...
[2016 노벨 화학상]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 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16.10.05
노벨상위원회 제공 ※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는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3~5일, 노벨위원회가 수상자 발표와 동시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보도자료 전문을 번역해 공개합니다. 노벨위원회는 이 보도자료를 통해 수상자 선정 배경과 의미를 자세히 소개하 ... ...
애플 가을잔치 ‘애플워치 시리즈2’, ‘아이폰7’ 공개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9.08
애플이 가을 신제품을 발표했다. 애플이 다음 한 해를 위한 제품을 내놓는 자리로 이번에는 애플워치와 아이폰이 중심에 있었고,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함께 소개됐다. 먼저 가을 이벤트의 주인공인 하드웨어 이야기부터 짚어보자. 처음 소개된 제품은 애플워치다. 애플워치 ... ...
세계에서 가장 굴절률 높은 신소재 나왔다
2016.09.06
이번에 개발된 신소재의 모식도(왼쪽)과 실제 사진(오른쪽)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에서 가장 굴절률이 높은 신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고성능 현미경이나 스텔스 전투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종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굴절률이 1800에 ... ...
열적 평형 깨진 보손 입자 포착 성공
2016.06.26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극저온 상태의 여러 입자들이 레이저로 만든 2차원 광학격자에 갇혀 있는 모습을 순간 포착한 이미지가 담겼다. 불규칙한 모습으로 배열된 채 빛을 내고 있는 점들은 각각 하나의 입자를 나타낸다. 이렇게 여러 개의 입자로 이뤄진 양자 시스템을 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