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자"(으)로 총 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이노 월드-1]공룡에 관한 재미있는 사실들기사 l20211017
- ~9m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어 왔습니다. 단 한 가지 알아보자면 토로사우루스라는 공룡은 존재하지 않는 공룡이라는 것입니다! 고생물학자 존 호너에 의해 트리케라톱스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었는데, 결국에 트리케라톱스의 새끼라는 것이 밝혀진 것입니다. 한때 머리에 트리케라톱스와 다른 구멍이 있었고, 뿔의 방향도 달라 트리케라톱스와 다른 종으로 분류되 ...
- 바다속의 괴수, 수장룡기사 l20211013
- 수장룡이네요. 리우플레우로돈은 쥐라기 후기부터 백악기까지 살았습니다.리우플레우로돈의 몸길이에 관해서는 논란이 많은데요. 학자들마다 5~7m이다, 15~20m이다 등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리우플레우로돈의 특징은 티라노보다 강하고 위험한 이빨입니다. 만약 리우플레우로돈이 크기가 20m이 넘었다면 이빨도 강하고,크기도 크니 당시 바다에서 최강이 ...
- 티라노사우루스 만큼 난폭한 공룡들기사 l20211012
- '공룡 속으로' 이라는 책에서는 "티라노사우루스가 공룡의 최강이 아니였다!" 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특히 무거운 공룡으로 어떤 학자들은 14t까지 무게가 나갔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렇게 무거운 몸을 지탱하기 위해서 역시나 뒷다리가 발달했는데 이런 다리로는 최대 50km/h의 속도를 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한다. 그 시절의 가장 ...
- [기억한데이] 훈민정음이 창제된 날, 한글날을 아시나요?기사 l20211009
- 35초가 걸린다는 연구 결과도 있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한글은 정말 위대한 문자임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재러드 다이아몬드라는 학자도 한글은 독창성이 있고 과학적인 문자라고 칭찬하였고 펄 벅 작가는 한글은 익히기 쉬운 훌륭한 문자이며,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이 레오나르도 다빈치라며 칭찬하기도 하였답니다. 이렇게 위대한 한글이 우리말이 ...
- [기억한 DAY] 한글날, 어떤 날일까?기사 l20211009
- 학자와 양반은 왜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세상에 널리 퍼뜨려 모두 알게 함.) 하려고 할 때 거세게 반대 하였을까요? 학자와 양반들은 다른 문자를 쓰면 중국의 학문과 멀어지게 되고, 그러면 조선의 문화와 학문이 뒤처지게 될 것 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양반들은 글을 쓰고 읽는 것을 자신의 특권으로 생각해, 일반 백성들도 글을 ...
- [기억한데이] 소중한 우리 한글의 날, 한글날기사 l20211009
-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한글은 표음문자이기에 소리를 그대로 문자로 옮긴다는 점이 매우 독창적이고 우수하다고 학자들은 말한다네요!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이 우리 한글을 그들의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3. 이해 또한 배우기에도 쉽습니다. 한글 자체가 쉬운 문자이고, 표음 문자인 동시에 조합하기도 쉬운 문자라는 ...
- 세종대왕님과 훈민정음 창제, 한글은 위대하다!기사 l20211008
- 중국 한자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기에 함부로 이 훈민정음을 공개하지 못한 안타까움도 존재해요! 예들 들자면, 최만리 같은 학자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새 문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짓”이라고 하면서 한글의 사용 자체를 부정했다고 합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도 존중해주었다면 좋았을 텐데요! 하지만 세종대왕님은 이에 맞서, 백성은 나라의 ...
- 운동을 하는게 공부에 도움이 될까?기사 l20211007
- 두뇌의 10%만 사용한다고? 사람이 두뇌의10%만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1890년대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가 '사람은 자신의 잠재력을 일부밖에 사용하지 못한다'라고 한 말이 잘못 전해지며 생긴말로, 사실이 아닙니다.실제로 뇌를 스캔하여 뇌가 활동하고 있을때를 관찰해 보면 인간은 간단한 생각을 할 때에도 뇌의 여러부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
- 스피노사우루스에 관한 거의 모든 것기사 l20211006
- 본 표본의 일부가 근연종 시길마사사우루스의 것일 수도 있다면서 그들의 골격 재건이 부정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018년 고생물학자 도널드 핸더슨은 이브라힘의 복원대로 스피노사우루스를 모델링하여 분석한 결과, 의외로 헤엄치는 데는 서투르고, 육지에서의 2족보행이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라는 결과가 나와 스콧 하트만의 다리 비율에 동의한다는 뜻을 나 ...
- 곤충 탐험대: 작지만 의미 있는 단체기사 l20211006
- 곤충 탐험대는 준우와 상우와 같이 설립한 단체로, 곤충을 탐사하는 일을 주제로 합니다. 1. 곤충 탐험대의 역사 곤충학자가 꿈인 준우와 곤충 채집을 하러 갔는데, 자연의 숨겨진 단서를 보고 곤충을 찾아 내는 재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나무의 구멍을 보고 나뭇가지로 속에 있는 애벌레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곤충 탐험대라고 써 있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