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자"(으)로 총 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쥬라기 월드-6] 육중한 용각류의 왕, 아르헨티노사우루스기사 l20211114
- 수페르사우루스등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암피코일리아스는 1800년대에 발견되기는 했지만 뼈가 분실되었음) 당시 학자들은 아르헨티노사우루스의 놀라운 크기에 같이 놀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아르헨티노사우루스는 급격하게 세상에 이름을 떨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까지도 이 명성은 누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아르헨티노보다 큰 공룡들 ...
- [쥬라기 월드-5] 세 번째 공룡 왕, 시아츠기사 l20211113
- 또 다른 공룡 왕으로 묘사되고는 합니다. 지금부터 세 번째 공룡 왕, 시아츠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3년, 여성 고생물학자 린제이 자노가 유타랍토르, 브라키오사우루스 등 많은 공룡들이 발견된 미국의 유타 주의 황야에서 화석 사냥 탐험을 하고 있었습니다. 린제이는 화석이 발견되지 않자 조금 쉬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때, 초거대 육 ...
- [쥬라기 월드-4] 내 이름은 억울해사우루스! 오비랍토르기사 l20211112
- 또, 오비랍토르의 알 품는 자세가 현존하는 새와 상당히 유사하다는 점도 최근에 밝혀졌습니다. 2. 정확한 외형 오비랍토르는 많은 학자들이 '알 도둑' 이라는 점을 연구하는 바람에 오비랍토르의 이미지는 놀라울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일단 오비랍토르는 깃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온몸이 깃으로 덮 ...
- [쥬라기 월드-2] 날렵한 쥐라기의 사냥꾼, 딜로포사우루스기사 l20211110
- 닮은 딜롱과 구안롱이 서식했기 때문에, 무리사냥을 한 것은 오히려 딜롱이나 구안롱일수도 있다고 하며 무리사냥설을 부정하는 학자들도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최근에 밝혀진 것이지만 딜로포사우루스의 목에 깃 같은 것이 나있었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2021년도의 복원도는 쥬라기 공원의 딜로포사우루스와 상당히 닮았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쥐라기 전기의 ...
- 메갈로돈이 멸종한 이유기사 l20211109
- 주장했습니다. 그데다 메갈로돈은 온혈동물이라 낮은 수온에서도 잘 살아갑니다. 2. 경쟁자의 등장과 먹이 부족 최근 고생물학자들은 원인으로 '경쟁자'를 원인으로 꼽습니다. 이토록 강력한 메갈로돈으이 경쟁자는 마이오세 중반에 등장한 거대 향유고래, 리비아탄입니다. 출처:https://blog.naver.com/fira_sea/22117 ...
- [쥬라기 월드-1] 얼어붙은 볏의 소유자, 크리올로포사우루스기사 l20211108
-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볏은 의외로 초기 육식공룡의 볏과는 다릅니다.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볏은 뼈처럼 딱딱했기 때문입니다. 학자들의 의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첫 번째는 많은 육식공룡들의 장식과 같이 이성에게 뽐내기 위한 용도였다는 '짝 유혹설' 입니다. 두 번째는 다른 포식자들에게 더 무섭게 보이기 위해 달려 있었다는 설입니다. 하지 ...
- 공룡의 유래기사 l20211107
- '거대한 파충류' 로 분류되며 서로에게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는 점을 확인한 인물이 나타났습니다. 바로 1800년대의 최고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언입니다. 리처드 오언은 이 '거대한 파충류' 들을 살펴본 뒤에 이빨을 잘 살펴보면 거대한 파충류이기는 하지만 손과 발은 포유류처럼 곧게 서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파충류와 포유류의 특징이 섞여 있 ...
- 드뎌!!!!!!! 보내지 못한 편지 2기! 프롤로그으ㅡ으으으으ㅡ으으응!!!!!!!!!!!!포스팅 l20211105
- 네 편지 잘 받았어! 나에 대해 알고 싶다고 했지?? 알려줄께! 내이름은 예지야. 11살이고, 대한민국에 서울에 살아. 난 커서 심리학자와 작가가 되고싶고 좋아하는건 책과 친구들이야. 싫어하는건 양파랑.......그냥 채소들. 난 편식을 좀 해서.....큼. 이러다가 돼지가 될것 같아. 고기만 좋아하는 고기 킬러(?) 난 책읽기랑 소설 쓰기 ...
- 창백한 푸른 점의 의미, 과연 무엇일까?기사 l20211105
- 관련되었냐면 바로 보이저 1호가 창백한 푸른 점을 찍었기 때문입니다. 과연 창백한 푸른 점이 어떻게 탄생하였을까요? 1980년,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나사에게 제안을 합니다.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나기 전에 뒤를 돌아 지구를 찍게 하면 어떨까?' 많은 전문가들의 반대에 의해 그 제안은 힘을 잃는 듯 했으나... 마침내 199 ...
- [다이노 월드-10] 상상을 뒤집는 공룡들기사 l20211104
- %84%EC%82%AC%EC%9A%B0%EB%9D%BC 마이아사우라는 좋은 어미 도마뱀이라는 뜻의 대표적인 새끼를 돌본 공룡입니다. 하지만 이 의견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부정하고 있습니다. 마이아사우라는 몸길이 9m의 대형 초식공룡인데, 몸집이 클수록 몸속의 난소가 많아지지만 알의 크기에는 거의 변화가 없어 몸집이 클수록 알을 많이 낳는다는 것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