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d라이브러리
"
해수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기온이 올라가면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
면이 높아지게 된단다. 이렇게 높아진
해수
면 때문에 낮은 섬나라인 우리 투발루는 집 앞마당까지 물이 차올랐어. 이제 우린 어쩌면 좋지? 지구 기온이 1℃ 올라가면…난 아프리카 킬리만자로에 살고 있는 탕가라고 해. 난 요즘 지구온난화로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식량 부족을 호소함. 지금보다 증세가 심각해지면 사망할 수 있음.지구 온난화높아지는
해수
면 유엔환경회의에 따르면 지난 15년 동안 세계 평균 바닷물의 높이는 1년에 약 3.4㎜씩 높아졌다. 이는 IPCC의 예상보다 80%나 높은 수치다.치솟는 이산화탄소 농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1970년부터 200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오르도비스기 초기에 걸쳐서 해양에 정착했으며 고생대 데본기에는 북미, 유럽의 담수와
해수
에 널리 분포했다. 그러다 데본기 이후 모두 사라져 현재는 원구류라고 불리는 입이 둥근 무악어류만이 남아있다. 칠성장어와 먹장어는 갑주어인 야모이티우스(Jamoytius)의 직계 혈통이다. 칠성장어는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통해 무선통신으로 보낸다.조위관측소전국 주요 항만과 섬에 있는 해양관측시설물로,
해수
면 높이나 수온 등을 관측한다.바다를 보면 생명 이 보인다!바닷물의 흐름이 날씨와 관련이 있다니, 정말 놀랍지! 뭐? 말하는 니모가 더 신기하다고? 생물에 관심이 많은 친구라면 알겠지만 바다에는 놀랍고 ... ...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 화산암은 5억 년 전에 맨틀 속으로 가라앉은 지각이었음을 확인했다.한편 연구팀은 이
해수
찌꺼기에서 매우 다양한 스트론튬 동위원소도 발견했다. 지금껏 하와이 용암에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스트론튬의 범위보다 훨씬 넓은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예상과 달리 아주 맨틀의 화학적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때문이다. 고등어처럼 따뜻한 물에 사는 난류성 어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고등어는
해수
면 근처에 살아(부어류) 기후변화에 아주 민감하다.고등어와 전갱이, 멸치, 살오징어 같은 난류성 어류는 동중국해에서 겨울을 보내고 따뜻한 봄이 되면 대마 난류와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각각 황해와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4년 동안 리튬 상업 생산 연구를 할 예정이다.] 바다를 자원 공장으로 바꾼 위대한 상상력
해수
리튬연구센터는 상상력의 승리다. 철썩철썩 부서지는 해변의 파도를 보고 그 안에서 지상에서 구하기 힘든 자원을 떠올렸다. 하지만 상상으로만 그쳤다면 실제 자원을 얻는 일은 영영 불가능했을 것이다.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생기기 쉽다. 이때 바닷물에서는 하늘을 향해물 입자가 날아가기 시작하며,
해수
면에 검은 점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수증기가 반지 모양으로 증발하기 때문이다. ‘수증기 반지’가 연속적으로 증발하면 곧 회오리가 되면서 하늘에 떠 있는 적운(뭉게구름)과 이어진다. 용오름은 멀리서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수십 m의 지진해일도 견뎌내는 피라미드형 도시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 도시는
해수
면보다 약 730m 높은 곳에 2000m 높이로 지어질 계획이다. 피라미드 안에는 약 75만 명이 살 수 있는 주택을 만들 예정이다. 토네이도를 이기는 지하 석회석 광산 아파트대형 회오리바람인 토네이도의 피해를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깎아내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평탄한 지형을 찾아야 한다. 기지의 높이는 수심 50m인
해수
면 위로 38m가 더해져 총 88m이다. 면적은 축구장의 5분의 2 크기인 2700m2로 이어도나 가거초 기지보다 크다. 기능적인 차이는 거의 없지만 수심이 깊고 바람과 파랑이 세 몸집이 커졌다. 기지 안에는 40종의 최첨단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