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때 지층의 종류에 따라 저항이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해 지질의 특성이나 지층의 경계면, 지하수 분포 등을 파악하는 물리탐사 법도 활용할 수 있다. 반면 해저터널의 경우 물이라는 장애물이 있어 음파를 쏠 수밖에 없다. 바다 밑으로 음파를 쏜 뒤 해저 지표면에서 음파가 반사돼 원래 지점으로 ... ...
- [핫이슈]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높은 산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는 고산식물 등 2002종, 385만 본의 식물이 심어져 있지요. 지하 46m 깊숙한 곳에는 ‘시드볼트(Seed Vault)’라 불리는 종자연구보존시설도 있어요. 급작스러운 기후변화나 환경오염으로 멸종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씨앗을 보관하는 곳이지요. ...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버터의 녹는점을, 누군가는 가장 더운 여름의 기온을, 누군가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지하실 온도를 주장했다. 심지어 뉴턴조차 사람의 혈액 온도를 기준점으로 제안했다. 이들은 예상대로 부정확했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섭씨온도(℃)는 1742년 세상에 나왔다. 스웨덴의 천문학자이자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계속 진행하고 있다. 류책임연구원은 “지역별로 미용실에 방문해 머리카락을 얻고, 지하수 샘플을 모으는 등 분석에 활용할 샘플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속초 전사자 유해 연구 시작현재 KBSI는 국유단으로부터 속초 지역 해안가에서 출토된 전사자 유해의 샘플을 받아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쿼크와 렙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이다보니, 나머지 95%를 차지하는 우주의 암흑 성분이 무엇인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이미 밝혀진 5%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는 앞으로 밝혀나가야 한다.박 교수는 우주의 급팽창 원리를 연구하고 있다. 우주 성분의 약 68.3%가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계를 잇는 무선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남미나 아프리카처럼 지하 광케이블 매설이 쉽지 않은 곳에서는 저렴하게 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기상 정보를 활용해 적절하게 고도를 조절하며 기구를 원하는 범위 안에 머물게 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기술이다.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양한 권역이 존재하며, 권역마다 특징이 다르면서도 상호작용하며 지구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인간은 살아 움직이는 지구를 지배하려고 하기보다는 이해하고, 생물권 내에 존재하는 구성원 중 하나로 다른 권역과 올바른 방향으로 상호작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산사태,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USGS)은 각각 지하 11km, 10km 지점이라고 밝혔다. 또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는 지하 5km 지점을 진원으로 지목했다. 여 교수는 “기관마다 발표하는 진원의 깊이가 다른 이유는 지각이 지진파를 전파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모델을 다르게 썼기 때문”이라며 “연구단에서는 지진파 자료와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SOC실증연구센터에 실험실을 짓고 있다. 지름이 30인치(76.2cm)인 거대한 파이프라인을 지하 1m에 묻고 극한지 동토 조건을 재현하는 시설이다. 이를 위해 온도를 영하 40도로 낮출 수 있는 304m모의 지상 차폐 시설과, 땅을 영하 5도로 얼릴 수 있는 지중 동결 챔버를 설계했다. 공진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재직 중이다. 한국 육지과 바다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 지진과 단층의 상관성, 지하구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