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제 우리는 태양계 바깥으로 나갈 예정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멀리 왔지요? 그런데 이곳에서도 인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여기 어디에 뉴 호라이즌스호와 보이저호가 있을 텐데…. 아, 저기 있네요!” 더 멀리! 태양계를 벗어난 위성 인류가 가장 먼 곳까지 보낸 우주 탐사선은 무 ... ...
- Part 2. 달은 지구촌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첫 번째 정거장, 달에 도착했습니다. 2019년은 인류가 최초로 달 표면을 두 발로 밟은 지 50년이 되는 해랍니다. 달 착륙 5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달에 탐사선을 보냈네요. 탐사선을 향해 손 한번 흔들어 주세요~!” 창어 4호, 달 뒷면을 향해 발사! 인류가 달에 착륙한 지 50년 ...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막아 주기 때문이에요. 현재 연구단은 지하 700m 깊이에서 실험을 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지하 1100m까지 내려갈 예정이랍니다. Q 언제쯤 암흑물질을 찾아낼 수 있을까요? 글쎄요. 그걸 알고 있는 연구자는 아무도 없을 거예요. 암흑물질을 아예 못 찾을 수도 있죠. 하지만 그렇다고 연구가 실패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석을 채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3만 개가 넘는답니다. 다이아몬드 분화구 주립공원은 9800만 년 된 화산의 일부예요. 지하 깊은 곳에서 암석이 녹아 만들어진 마그마가 화산 활동으로 폭발할 때 다이아몬드 원석도 함께 올라왔지요. 다이아몬드 원석은 보통 지표면 아래 150~250km 부근에서 탄소가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 만들어져요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만들었어요. 또 사람들이 살아가는 도시는 건물 형태보단 지하에 있는 것이 더 안전할 거라고 생각했답니다. Q 왜 아르테미스에서는 알루미늄에서 산소를 뽑나요?인류가 달에 간다면 달에 있는 금속을 이용할 거라 생각했어요. 지구에서 무거운 금속을 가져갈 순 없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더 중요한 것은 싱크홀이 발생하지 않게 미리 조심하는 거예요. 공사를 하기 전에 지하수나 토양의 상태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아름다운 바다의 싱크홀, 블루홀 바다 한가운데 금방이라도 빨려 들어갈 것 같은 커다란 구멍이 보여요. 너비 318m, 깊이 124m의 ...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기후 변화 등으로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연구했어요. 그러다 환경DNA로 깊은 바다나 지하수와 같은 곳에 사는 생물도 찾아보면 어떨까 생각하게 됐지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네스호는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좋아서 그런 프로젝트에 딱 맞았답니다. Q네스호에 정말 괴물이 있다고 ...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조립했지요. 바퀴가 달린 로봇은 보통 평평한 지형에서만 움직일 수 있어 하수관을 탐지하기 어려웠어요. 애벌레 로봇은 하수관과 비슷한 둥근 기둥 모양이고, 바퀴가 없어 곡면에서도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지요. 또 작고 가벼워 하수관을 손상시킬 염려도 없답니다. Q로봇을 개발하는 데 가장 ... ...
- 사건발생! 소년들은 왜 동굴에 고립되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동굴’로 향했어요. 탐루엉 동굴은 총길이 10.3km의 석회암 동굴로, 긴 시간 동안 빗물과 지하수가 석회암을 녹이면서 만들어졌답니다. 내부에는 곳곳에 깊은 웅덩이와 좁은 틈, 거대한 바위 덩어리들이 흩어져 있지요. 운이 나쁘게도 축구팀 소년들이 동굴에 들어간 그날, ‘몬순’의 영향으로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최대규모의 야생식물 종자보관소로, 현재 3203종 4만 6675점의 종자가 보관돼 있어요. 지하 46m 깊이의 시드볼트 터널로 들어가자 서늘한 기운이 느껴졌지요. 시드볼트부 종자보존저장팀 이하얀 팀장님은 “종자는 영하 20°C, 수분이 제거된 장기 저장고에 10년 이상 안전하게 보존된다”며,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