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균"(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합성생물학의 이정표가 됐습니다. 벤터 박사팀은 첫 번째 인공세균을 시작으로 현재는 세균보다 훨씬 복잡하고 유전체가 큰 인공효모의 제작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사한 방식으로 인간 세포를 합성하려는 계획이 논의되기도 했습니다. 유전자 3개로 말라리아 치료제 전구체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꽤 질기다. 이 교수는 “세균은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생식력이 늘어 여름철에는 세균성 질환이 유행하지만, 독감을 비롯해 노로 바이러스, 로타 바이러스 등은 겨울을 좋아한다”며 “영하 15도 정도의 추위도 바이러스에게는 온화한 날씨”라고 말했다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식의 유통기한은 최소 9개월에서 최대 3년이다. 또 지구의 세균이 우주 공간에서 어떤 영향을 줄지 모르기 때문에 완벽한 멸균이 필수다. 수분도 완전히 제거한다. 식량을 오래 보존하는 것은 물론, 발사 중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포장재의 안정성과 살균력이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송진이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중요하다”며 “송진은 나무를 썩게 만드는 세균의 먹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 필요한 경우 2차 처리를 한다. 철심을 박아 부러진 부재를 보강하거나, 목재의 탄 부분이 가루처럼 떨어지지 않도록 강화제를 뿌린다. 부식이 심한 철제 부재는 녹을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판매하고 있어요. 프랑스의 ‘글로위’라는 회사도 2016년부터 오징어에서 발견되는 세균을 이용해 도시 전체를 밝히는 조명을 개발하고 있지요. 발광 생물을 이용한 조명은 아주 단순해요. 빛을 내는 생물과 생물의 먹이, 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만 있으면 되거든요. 글로위의 산드라 레이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생긴 염증을 말해요. 과도한 활동으로 상처가 나거나 뼈에 틈이 생기면서 골막이 세균에 감염되면 발생하는 질병이지요. 연구팀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박치기를 하는 과정에서 머리뼈에 구멍이 뚫리거나 상처가 생긴 뒤, 뼈조직까지 염증에감염되면서 생긴 흔적이라고 추측했어요. 특히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진드기 때문에 ●라임병이 무려 10배나 늘기도 했답니다. ●라임병 : 진드기가 옮기는 세균성 감염증.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항구가 발칵!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아라!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Part 3. 외래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최초로 광합성을 한 생물인 ‘남세균’의 흔적이 남아 있어요. 물에 떠다니던 남세균이 모래에 엉겨 붙은 다음, 이 모래가 오랜 시간 동안 쌓여 화석이 되었어요. 당시 바다에 있던 이 미생물이 광합성을 하면서 지구에 산소가 생겨나기 시작했답니다. 이처럼 미생물과 모래가 섞여 만들어진 화석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각각 몸속에서 다른 역할을 해요. 백혈구는 몸속에 침입한 세균을 잡아먹고, 적혈구는 혈관을 따라 이동하며 몸 곳곳에 산소를 운반해요. 또 혈소판은 상처가 났을 때 혈액을 응고시키지요. 이처럼 혈구마다 역할은 제각각이지만, 모두 같은 곳에서 만들어져요. 그곳은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세균이나 곰팡이처럼 지구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수많은 작은 생물들이 살고 있어요. 이런 미생물들은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볼 수 있지요.그렇다면 미생물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