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뉴스
"
관측
"(으)로 총 3,9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함몰지진? 암반파열? 늘어나는 북핵 2차 지진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IRIS가 밝힌 2차 지진의 위치. 핵실험에 의한 지진 추정 장소보다 1km가 채 떨어져 있지 않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정 위치다. - IRIS 제공 북한 6차 핵실험 직후에 일어난 작은 ... 피크는 보통 아래를 향하는데, 이 자료로는 불분명하다. 자료는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
관측
소. - 윤신영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2.6등급이었다. 한편 1604년
관측
된 케플러 초신성(SN 1604)이 우리 은하에서 마지막으로
관측
된 초신성 폭발이다. 이 초신성의 최대 밝기는 -2.5 등급으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았고 3주 넘게 낮에도 보였다고 한다. 우리 은하 정도 크기라면 대략 50년에 한 번 꼴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 ...
[북핵 팩트체크 – 남은 의문들(1)] “의문의 2차 지진파… 방사성 기체 포집 가능성 높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mb 규모식을 변형한 식을 쓰고 있다”며 “30여 개 국내
관측
소 데이터를 활용해 얻은 진폭과 거리 데이터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를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유 과장은 “1차 핵실험 때부터 6차까지 일관되게 자료를 축적하고 있어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해양지각 ... ...
기상청 “지진 규모 5.7”… 충격흡수 기술 감안땐 위력 더 클듯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하는 여건상 핵물질 양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위력을 최소화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란
관측
이 나온다. 북한이 이날 핵실험 전 노동신문 보도를 통해 “핵탄 위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고 밝힌 점도 의도적으로 위력을 조정한 정황을 뒷받침한다. 위력이 50kt이라면 북한이 주장하는 수소탄으로 볼 ... ...
[사이언스 지식iN] 북한의 6번째 핵실험...수소폭탄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비하면 5~6배, 같은 해 1월의 4차 핵실험에 비하면 11.8배 큰 위력이라고 합니다. 인공지진
관측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수소 폭탄 실험일 것이라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사실 지난 5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다음 핵실험은 수소폭탄 실험이 될 것이라는 전망은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 북한은 ... ...
지구와 닮은 꼴 외계 행성, 물 있을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1
이용해 트라피스트 주변 행성 대기에 있던 수소가 행성 영향권 밖으로 나가는 것을
관측
했다. 수소는 매우 가벼운 기체라 행성의 중력에서 쉽게 벗어나 우주 공간으로 나갈 수 있다. 연구팀이 주목한 부분은 수소의 출처다. 대기 중 수소는 수증기가 자외선을 받아 광분해 되며 만들어진다. 지구도 ... ...
토네이도 사이로 착륙하는 여객기 ‘포착’
팝뉴스
l
2017.09.01
영화의 한 장면처럼 보이는 극적인 순간이라는 평가다. 당일 소치에서 12개의 토네이도가
관측
되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사이언스 지식IN] 허리케인, 사이클론, 태풍 뭐가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8.28
10월의 바닷물 온도가 더 높기 때문에 이때 태풍이 더 강력해질 수 있다고 하네요.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빠른 풍속을 가졌던 슈퍼 태풍은 2013년 10월 필리핀을 강타한 '하이옌'이었어요. 하이옌의 풍속은 초속 105m/s로, 한국을 지난 태풍 중 최고 풍속을 기록한 태풍 매미보다 1.5배 빨랐답니다. 당시 ... ...
한·중·일 동북아 미세먼지 공동 연구결과 공개키로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17.08.26
17일 발효됐다. 3국 장관은 ‘사토야마 이니셔티브’ ‘아태지역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AP-BON)’ ‘동아시아 생물다양성정보 이니셔티브(EASBII)’ ‘바이오브릿지 이니셔티브(BBI)’ 등 국제 및 지역 이니셔티브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협력 연구를 추진하는 등 3국 공동 ... ...
우주에서 본 개기 일식 ‘그림자에 불과해’
팝뉴스
l
2017.08.23
제공 미국에서 99년 만에 처음으로 미 대륙을 가로지르는 개기 일식이
관측
이 되어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위 사진은 미국항공우주국이 공개한 사진이다. 개기 일식의 풍경이다. 그런데 관점이 다르다. 우주 상공에서 바라보고 있다. 지상의 사람들 눈에는 태양이 사라지는 놀라운 순간이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