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초소형유전자가위...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폐암환자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성 예측’성과는 국내 최대 규모의 폐암 환자 ‘
이미지
-유전체-임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마커를 이용해 면역항암제의 반응성을 판별·분석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창출된 우수성과 ... ...
[과기원NOW] UNIST, 딥러닝 활용해 '배터리 건강' 알려주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배터리를 충·방전 시킬 때 얻은 전압, 전류, 용량 데이터를 빛의 삼원색 값으로 변환해
이미지
화한다. 이를 기반으로 딥러닝 모델을 활용해 배터리의 건강 상태를 예측한다. 이를 통해 실제 충·방전 테스트 없이도 내부 모듈의 재활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 ...
2년전 살충제 안듣는 외래종 '빈대' 첫 발견됐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8
한국에서 부쩍 증가한 일반 빈대.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최근 한국에서 출몰하는 빈대 중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반날개빈대'가 2021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채집된 반날개빈대에선 국내 빈대 확산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내성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등장한 화성에서 온 선무당들이 떠벌리는 황당하고 비현실적인 억지일 뿐이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 ‘K-과학기술’의 화려한 성과 우리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은 절대 납득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억지다. 1인당 국민소득 60달러였던 세계 최빈국(最貧國)을 반세기만에 세계 1 ... ...
"고통 동반 염증성 장질환 발병, 8년전에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8
일어나기 훨씬 전 미묘한 신체 변화가 감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nuwat Dangsungnoen/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염증성 장질환을 진단받기 훨씬 전부터 이미 환자의 신체에서 변화가 포착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변화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진단 기준이 있으면, 예방 조치 또한 가능해질 것으로 ... ...
MRI·양자컴에 쓰이는 '헬륨' 가격 급등 우려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담긴 가스통.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거의 100년 동안 세계 최대의 헬륨 공급자 역할을 해 온 미국 연방 정부가 안정적인 헬륨 공급에서 손을 떼려하고 있다. 앞서 비용을 회수할 목적으로 90년대부터 광대한 지하 가스 저장소를 비우기 시작한 미국 정부는 최근 미국국토관리국(BLM)의 대규모 헬륨 ... ...
[바꿔쓰자!과학용어] ⑧질병유전자→유전자변이...차세대한림원이 꼽은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일으키는 것은 아니므로 질병 유전자는 유전자 변이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lucadp/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편집자주] 과학, 기술, 의학 분야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용어들이 쏟아져나오는가 하면 처음 통용되기 시작할 때 의미 전달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진 용어들이 많습니다. 지금까지는 ... ...
로봇으로 부활한 4억5000만년 전 불가사리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고생물의 진화 과정을 접목한 새로운 로봇 시스템을 연구한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4억 5000만 년 전 고생대에 살았던 극피동물의 모습을 본 딴 소프트로봇이 개발됐다. 카멜 마지디 미국 카네기멜론대 공과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스페인·폴란드 고생물 연구팀과 함께 멸종된 고생물 ... ...
'나비의 눈'에서 암세포 구별
이미지
센서 힌트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인지할 수 있는 기술로 암세포를 잡아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이미지
센싱 기술은 의료진이 수술 중 암세포를 쉽게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비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자외선을 볼 수 있는 곤충의 시각체계를 모방하는 방안 등이 현재 ... ...
'생물학적 나이' 많으면 치매 위험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6
위험은 생물학적 나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Aleksei Morozov/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실제 나이보다 생물학적인 나이가 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치매, 뇌졸중 발생 위험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라 해그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