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닐 폭스 미국 미주리대 환경 및 대기과학과 교수팀이 레이더를 이용해 빗방울의 증발량을 계산하는 방식을 고안해 일기예보의 정확도를 높 ... 레이더는 거리가 멀수록 정확성이 떨어졌다”며 “농업 등 강수량이 중요한 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라고 설명했다. doi: 10.1016/j.jhydrol.2017.12.05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응원단이 현지에서 홍역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 접촉한 뒤 귀국할 경우 지금보다 더
큰
규모로 홍역이 창궐할 수 있다. 인 연구사는 “홍역 환자가 발생할 경우 병원에서 재빨리 인지하고 질병관리본부에 신고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계속 알릴 계획”이라며 “홍역은 2차 예방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알을 낳아 공격하려면 하얀 새를, 부메랑처럼 되돌아오듯 회전해 공격하려면 부리가
큰
새를 날리면 된다.다른 게임과 마찬가지로 게임을 많이 할수록 실력이 늘지만, 이 게임은 특별하게 노하우를 알려주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습득할 수 있다. 손가락 힘을 조정해 튕겼을 때 새마다 날아가는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수 있다. 이 교수는 “사람의 미각은 맛 분자에 의한 화학적 신호뿐만 아니라 식감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며 “예를 들어 콩 단백질을 층층이 쌓아 고기를 만들 때 쌓는 방향을 다르게 디자인하면 다른 종류의 고기처럼 느낀다”고 말했다. 지금은 콩고기를 만들 때 콩 단백질을 높은 압력과 높은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해서 다 같은 세포들이 아닙니다. 성체줄기세포의 발견은 의과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특정 세포가 더 이상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거나 갑자기 그 수가 줄어 병이 생기는 경우에 성체줄기세포를 해당 세포로 분화시킨 뒤, 환자에게 이식하면 질병의 뿌리를 제거하는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서 씨는 “특히 공학계열은 외국 연구자들과의 연구 교류가 중요한 만큼 국제형 수업이
큰
장점”이라며 “하지만 평소에 영어를 소홀히 하면 수업에 적응하기 힘들 수 있어 영어 기본기를 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공학프런티어캠프’였다. 대학원 연구원들이 진행하는 슬로싱 실험을 체험하면서
큰
흥미를 느꼈다.슬로싱이란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움직이면서 저장 공간의 벽면에 충격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는 선박은 영하 164도의 극저온으로 액화시킨 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실어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작용하며 평가에 반영되겠지만, 봉사활동은 그 중에서도 인성과 전공적합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핵심평가요소의 세부평가항목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학업성취도뿐 아니라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대입 전형에도 인성평가가 도입됐다. 인성을 평가하는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매번 최선을 다해 접어야한답니다. 늘 새로운 도전을 안겨 주는 종이비행기는 제게
큰
매력이지요.” 종이비행기 안에 항공 역학이!“어떻게 하면 특별한 종이비행기를 접을 수 있나요? 비법을 알려주세요!” 김서진 기자단 친구의 질문에 멀리 날리기 종목의 김영준 선수는 먼저 두 종류의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두 개의 금줄을 등에 지닌 금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60cm밖에 뛰지 못한답니다. 게다가 울음 주머니가 다른 개구리보다 덜 발달돼 있어서
큰
소리로 울지 못해요. 그 대신 ‘딱그르르, 뽁’하는 독특한 소리를 낸답니다. 이런 여러 이유 탓에 예부터 충청도 지역에서는 금개구리를 ‘멍텅구리’라고 친근하게 불렀지요. 과거 금개구리는 논 주변에서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