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이템인가 봐.”채윤이가 말하자, 언제 나타났는지 뒤에서 아저씨의 목소리가 들렸어요.“드디어 아이템의 정체를 알게 됐군! 이제 무엇이든 크기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을 거야.”수호가 신나서 피젯 스피너를 다시 돌렸어요.“어엇!” [개념 퀴즈 ... ...
- [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중순부터 김포와 제주도를 오가는 여행객들은 신분증 대신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한 뒤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활주로가 도넛 모양? 공항의 변신[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편리함] 로봇으로 공항 길찾기 완료! ... ...
- [과학뉴스] 아픔 느끼는 로봇 손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연구진은 ‘환각지’ 현상에 주목했어요. 환각지는 사고나 병으로 신체 일부를 잃은 뒤에도 여전히 몸에 남아 있다고 느끼는 현상을 말해요. 사람에 따라서는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를 ‘환지통’이라고 하지요.연구진은 환지통을 이용해 통증을 느낄 수 있는 로봇 ... ...
- [과학뉴스] 하야부사-2, 소행성 ‘류구’에 도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2’가 지구에서 2억 8000만km 떨어진 소행성 류구에 도착했어요. 지난 2014년에 발사된 뒤 3년 반 동안 날아 다다른 거지요. 류구는 지금까지 탐사된 적이 거의 없는 C형 소행성이에요. C형 소행성은 S형, M형 소행성에 비해 덜 뜨겁기 때문에 태양계가 탄생할 당시의 물질이 변형되지 않고 남아 있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양쪽 해변에 점점 파도에너지와 바닷물이 쌓이면 상대적으로 파도가 약한 암초 뒤편으로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지요. 이것이 바로 이안류랍니다.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은 해변에서 500~1000m 떨어진 곳에 암초가 울퉁불퉁 솟아 있어요. 이로 인해 파도가 좌우로 나뉘어 해변을 향해 들어오지요. 그래서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작기 때문에 미세한 신호까지 잡아낼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요. 뿐만 아니라 뇌에 심은 뒤 신경을 자극하면,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신경 질환을 치료할 수도 있답니다.그동안 마이크로 전극은 실리콘으로 주로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실리콘은 단단한 탓에 몸 안에 이식할 경우 세포를 망가뜨려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해요. 용기 내부는 불순물을 100% 제거한 상태지요. 여기에 메탄과 수소 기체를 주입한 뒤, 온도를 3000℃까지 올려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요. 그러면 메탄이 순식간에 분해되면서 탄소 원자가 다이아몬드 결정에 결합해 커다란 다이아몬드로 자라지요. 지난 5월 영국 카디프대학교의 올리버 윌리엄스 ... ...
- [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하지만 식충식물은 식물이면서 곤충을 잡아먹지요. 식물학자들은 곤충을 유인해 잡은 뒤, 이를 소화시킬 수 있는 식물을 식충식물이라고 불러요. 그래서 식충식물은 ‘벌레잡이 식물’로도 불린답니다. 그렇다면 식충식물은 왜 곤충을 잡아먹을까요? 식물은 대개 뿌리를 통해 성장에 필요한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반사시키는 원리예요. 모자를 써서 햇빛을 가리듯 피부에 크림을 발라 얇은 벽을 만든 뒤, 빛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거죠. 피부조직과 화학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아 피부 손상을 줄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피부 위에 하얗게 층을 만드는 ‘백탁 현상’을 일으킨다는 단점도 있답니다.한편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가지 아래에 두고 톡톡 쳐서 그곳에 붙어 있던 곤충을 채집망 안으로 떨어뜨렸지요. 그뒤 채집망을 열면 쉽게 곤충을 채집할 수 있었답니다. 이날 대원들은 옆검은산꽃하늘소, 삼하늘소, 긴다리범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 다양한 하늘소를 비롯해 꽃무지, 집게벌레 등의 산 속 곤충을 관찰할 수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