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1728년, 백내장 때문에 시력을 잃은 14세 소년을 수술하는 데 성공했어요. 소년은 그 뒤 시력을 얻었지만 고양이를 보고도 그것이 고양이인지 알지 못했어요. 이전에 고양이를 본 적이 없기 때문에 고양이가 앞에 있어도 그 동물이 고양이라는 것을 몰랐던 거예요. 또 그 소년은 모든 사물이 자기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초열대야 현상이 나타났답니다. 2018년 8월 15일 자 를 꼼꼼히 읽은 뒤, 가로세로 낱말 퍼즐을 풀어보세요! ○가로 ① 공급되는 전기보다 사용되는 전기의 양이 많아 발생하는 대규모 정전 사태. (통합과학 교과서 참조)② 지식은 경험만으로 생길 수 없고 이성에 의해 얻어진다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넓히기] 블랙아웃을 대비하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뒤 송전탑을 거쳐 곧바로 필요한 곳으로 보내져요. 현재 기술로는 전기 에너지를 대용량으로 저장하지 못하거든요. 그래서 요즘처럼 전기사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한여름에는 사용량을 예측하고, 현재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파손 정도, 제비가 번식했던 흔적 등을 꼼꼼히 기록하기 위해 으스스한 폐가 안을 샅샅이 뒤졌지요. 어두컴컴하고 곳곳에 거미줄이 걸려있는 데다, 갑자기 고양이가 나타나 소스라치게 놀란 적도 많았어요. 이럴 땐 속으로 ‘제비 연구를 위해 정말 별걸 다 하는구나’라고 푸념했답니다.” 정다미 ... ...
- [과학뉴스] 공중 스턴트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함께 혼자서 묘기를 선보일 수 있는 스턴트 로봇을 개발해왔어요. 올해 5월에는 뒤로 공중제비를 넘을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로봇 ‘스틱맨(Stickman)’을 공개하기도 했지요.이번에 발표된 스턴트로닉스는 스틱맨의 발전형으로, 사람처럼 생긴 휴머노이드 로봇이에요. 약 41kg의 무게로, 머리와 팔다리를 ... ...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이때 반려조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려조와 보호자가 충분히 친해지고 난 뒤 시행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반려조는 보호자를 위협적인 존재라고 여기고 물거나 보호자가 나타날 때마다 심한 스트레스를 겪을 수도 있지요.그렇다고 반려조와 친해지기 위해 집에 데려오자마자 자꾸 ... ...
- [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형태의 날개를 만들었어요. 일반적으로 항공기 소음은 공기가 비행기 날개에 부딪힌 뒤 회오리 모양으로 흐르는 와류 때문에 만들어져요. 그런데 구부러진 날개를 이용하면 와류가 만들어지는 것을 예방하고, 동시에 소음도 줄일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활주로가 도넛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파란 눈을 한 여름 손님 긴꼬리딱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5월이면 한국을 찾아 번식을 하고 떠나는 여름철새지요. 알 3~5개를 낳아 약 2주 동안 품은 뒤 새끼가 태어나면 8~12일 동안 돌보아요. 그러다 8월이 되면 동남아시아 쪽으로 가서 겨울을 보낸답니다. 긴꼬리딱새는 원래 일본식 이름인 ‘삼광조’라 불렸어요. 울음소리가 일본인에게 해(츠키), 달(히), ... ...
- Intro. 활주로가 도넛 모양? 공항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기다리던 여름 휴가! 공항에 들어선 뒤 카운터를 찾기 위해 두리번거리던 그때, 우리 가족 앞에 로봇이 나타났어. 그러더니 가야할 카운터 위치를 알려 주고, 직접 안내까지 해 주었지. 공항이 점점 똑똑해진다더니 정말인가 봐. 달라진 공항 속으로 얼른 들어가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장치로, 항공기에서 바다로 떨어지는 동안 계속해서 기상 정보를 모을 수 있거든요. 그뒤 이렇게 관측한 기상 자료를 무선으로 항공기에 전달한답니다.허리케인 헌터들이 이렇게 위험을 무릅쓰고 폭풍 위를 날아가는 건 폭풍의 진행 방향과 정확한 규모를 알아내 폭풍의 위험으로부터 적절히 ... ...
이전292293294295296297298299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