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인간이 들을 수 없고 볼 수 없는 것을 기계적으로 감지해 낸다.감성공학(感性工學)이란 낯선 기술분야가 최근 미국과 일본 등 과학기술 선진국에서 일반인들의 관심 ... 및 생활제품과의 관련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고 연구하는 감성공학기술이 새로운 과학기술 연
구분
야가 될 것이다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 띠에 틈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 틈을 '카시니의 틈새'라 한다. 현재 띠는 크게 A B C로
구분
되는데 A와 B 띠의 사이가 카시니의 틈새다. 틈새는 6, 7㎝ 정도 구경의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그 구조는 마치 레코드판의 홈처럼 수많은 링의 연속으로 돼있다.토성띠의 평면은 황도면과 28° 경사를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보신에 쓰이는 것을 살펴보면 실로 다양하다. 물론 건강식과 보신용 식품은 약물과는
구분
돼야 한다. 현대의 건강식 보다는 옛날의 보신용 식품이 훨씬 약효가 컸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가장 일반적인 서민의 건강식은 영계백숙(삼계탕)이었다. 지금은 식당에 가면 얼마든지 사먹을 수 있지만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진동수보다 훨씬 많다. 따라서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그리고 핵폭발과 TNT 폭발을 쉽게
구분
할 수 있다.오늘날 지진탐지기는 세계 곳곳에 설치돼 미국과 소련이 서로를 감시하고 있으며, 지하핵실험을 하면 무인지진탐지기에 의해 그 지진파가 기록되고 인공위성을 통해 미국의 중앙통제소로 자동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먹으면서 왼손으로 작업하는 수리공도 있다. 이처럼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
히 모호한 경우가 수두룩 하다.과거에는 '글씨 쓰는 손'이 왼손·오른손잡이를 나누는 절대적인 기준이 됐으나 그와 같은 단순판정이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구별법이 속속 등장했다. 그중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큰 노루(학명 Capreolus capreolus pygargus)와 전한반도에 분포하는 노루(학명 C.caprelus bedfordi)로
구분
해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단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 일부께서는 체위나 체색을 기준삼아 종(種)을 아종(亞種)으로 더 세분하기도 한다.노루의 몸길이는 1백30~1백35cm, 어깨 높이는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통한다고 볼 수 있다. 국제 통신회선은 크게 통신위성방식과 해저 케이블 방식으로
구분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신위성 방식은 태평양 위성이 1천8백8회선, 인도양 위성 8백20회선으로 총 2천6백28회선이고, 해저케이블 방식은 동축케이블 1천2백회선, 광섬유케이블에 위한 현대식이 1천8백90회선으로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발전하고 ISDN(종합정보통신망)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이 시대가 바로 산업사회와
구분
되는 정보사회인 것이다. 하드패스와 소프트패스교통은 인류의 공간에 대한 도전을 의미한다. 어떤 공간을 얼마만큼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사회는 대륙뿐아니라 바다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실용화하는데도 크게 기여하리라는 점이다. 입력과정의 문제첫소리와 끝소리를
구분
할 수 없다는 문제는 컴퓨터에서 두벌식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 여실히 드러난다. '문제'라는 단어를 두벌식과 세벌식으로 입력할 때의 과정을 짚어 보자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상위지층에 매몰됐다는 것이다. 이는 지형(地形)의 고도와 층서상(層序上)의 상하를
구분
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만화같은 이야기다.지층의 상하는 층서학적 상하를 가리키는데 이는 지형학적 상하와 무관하다. 현재 높은 태백산맥에서 발견되는 고생대 지층들은 지형으로 봐서는 상위지만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