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등에 폭넓게 쓰인다. 화학적으로는 유리섬유를 혼입하는 G-FRP와 탄소섬유를 섞는 C-FRP로
구분
되며 수지에 따라 실리콘계 페놀계 등으로 나뉜다. 생산량이 많은 것은 폴리에스터계의 G-FRP로 날이 갈수록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PET/PBT(poly ethylene/butylene terephthalate)PET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 ...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만들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다. 그러나 이 두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은 뚜렷이
구분
되는 것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생물권Ⅰ의 운행원리와 그 운행에 필요한 장치들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생물권Ⅰ안에서 삶을 꾸려가고 또 미래의 인공생물권인 우주기지를 설계할 것이기 때문이다.1987년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부상했다.하지만 윈도우의 매력은 단순히 GUI정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도스와
구분
되는 윈도우의 진정한 강점은 32비트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메모리관리기능과 멀티태스킹(multitasking)기능에 있다.즉 윈도우는 도스의 메모리한계인 6백40KB에서 탈피해 주메모리가 설정된대로 바로 이용이 가능하며,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의료사고와 의료과실따라서 의료사고와 의료과실은 마땅히
구분
돼야 한다."의료사고란 의료행위가 시작된 후 끝날 때까지의 전과정에서 예상외로 일어난 모든 불상사를 일컫는 말이며, 의료사고 중에서 잘못이 법적으로 인정된 것을 의료과실이라고 한다."원로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경우. 우리나라 사람의 사망원인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중 하나인 뇌졸중을 크게 둘로
구분
할 수 있는데 하나는 뇌출혈이고 다른 하나는 뇌경색 또는 뇌색전이다.뇌의 미세한 세포가 터지는 뇌출혈이 현재까지는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여러나라에서 뇌졸중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동양인의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분류할 때 서로 다른 대(帶)로 분류되는 전파의 종류들. 전자기파를 이렇게 주파수 별로
구분
하는 이유는 주파수에 따라 전자기파의 전파(propagation) 방법이나,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분류의 편의상 30㎑를 기준으로 해서 10배마다 한 구역씩으로 나눈다.VHF는 초단파(SW, Short Wave)라고도 불리는데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사례를 보면, 과학적 지식의 결여때문에 잘못된 결론에 이른 경우보다 사실과 주장을
구분
하지 못하는데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더 많다.요컨대 사고해석의 모태는 수집된 자료다. 따라서 사고해석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무엇보다 현장조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치아로 교체하지는 못한다.)아무튼 이빨로부터 얻은 정보는 나이든 공룡과 어린 공룡을
구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출생률과 같은 사실들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약탈동물의 수와 희생되는 동물의 수를 예측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이 모든 것은 얼추 1억년은 됨직한 딱딱한 이빨로부터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유무에 따라서 화자/필기자 종속적인 시스템과 화자/필기자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분
할 수 있다.화자/필기자 종속적인 시스템은 인식알고리즘을 특정 화자나 필기자에 맞추어 훈련시킨 시스템으로 비록 처음에는 인식을 잘못하더라도 시간을 두고 훈련을 시키면 시스템이 특정화자나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평평하고 작으면서도 고성능의 재료들이 요구됐다.국내에서는 80년대초까지 신구소재의
구분
이 없었다. 82년 신소재에 관련된 특정연구개발사업이 시작되고 84년 대통령 주재의 기술진흥확대회의에 신소재가 주제로 잡히면서 소재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80년대부터 일어서기 시작한 자동차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