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사
상사
사업
업체
기업체
그룹
상회
스페셜
"
기업
"(으)로 총 3,0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활약하는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계돼야 한다는 것. 오선호 교수는 “한국은 하나의
기업
이 돼야 생존할 수 있다”며 “한국이 정말 발 빠르게 움직이려면 미국에 있는 인재들을 네트워크로 곳곳에 심어놓고 최신 정보를 빨리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과 협력하겠다면서 1년에 한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이제 우리 바이오는 ‘양에서 질로 가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이런 내공이 쌓여
기업
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새롭게 생겨야 할 전임상과 임상 분야에서 전문가를 키우고, 변호사·변리사도 있어야 한다. 정보 네트워크를 위한 인문사회과학자들도 대거 BT 쪽에 들어와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거대 제약회사들은 새로운 제품을 찾고 있고, 소규모 생명공학
기업
은 자금 지원자와 파트너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양재혁 한국바이오협회 대회협력실 차장도 “세계 제약업계는 현재 혁신을 위한 시간을 가지고 있다”며 “인수합병(M&A)나 공동연구 등을 통해 서로의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26
2011년 3월 ~ 2012년 2월 중소
기업
청 광주전남지방중소
기업
청 청장 2012년 2월 ~ 현재 중소
기업
청 기술혁신국 국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 ...
“세계적인 제약
기업
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안도걸 국장의 ‘이것만은 꼭!’ △활짝 열린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세계적인 제약
기업
필요 △병원의 축적된 임상정보를 R&D로 이어가는 시스템 필요 안도걸 국장은 1986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부 1988년 서울대학교 정책학과 석사 2006년 미국 하버드대 행정학과 석사 2002년 3월~2005년 7월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때문에 산업체 육성보다는 전업농 관련 연구에 더 집중했었다”며 “앞으로는 민간
기업
에도 필요한 연구 쪽으로 연구개발을 확대해 산업 전체를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가적인 차원에서 농업생명공학 부분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지원하는 것도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역설했다. 송 원장은 “뉴질랜드가 폰테라와 제스프리 같은 세계 최고의 그린바이오
기업
을 육성할 수 있었던 것은 5~10년 주기로 성과를 평가하거나 중간 연구 산출물 또는 과정 자체만으로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개발(R&D)에서 오랫동안 지적된 문제인 중복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4.11
위해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할 때다. ▽ 심재규 과장=농림수산식품부는 정부 연구기관과
기업
대학 등의 민간 연구역량을 결집시켜 가축질병,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등 현안해결 기술개발 및 농림수산식품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초 원천 연구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26
좋은 열매를 맺거나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종자를 확보하는게 중요합니다. 다국적 농업
기업
인 몬산토의 경우 새 품종을 개발해 판매하는 것만으로 2010년에 76억 달러(약 8조6500억 원)의 순이익을 냈을 정도입니다.” 생물유전자원과 관련된 국내 특허의 대부분은 의약품이다. 종자 개량에 대한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통한 신산업 육성과 응용·연구개발을 위한 인력양성, 연구기반 확충에 따른
기업
유치 효과도 볼 수 있을 거라고 예상했다. 그는 “과학벨트는 거점지구의 연구성과를 기능지구에서 어떻게 산업화·사업화하는지에 따라 성공 여부가 좌우된다”며 “과학벨트의 꽃을 피우는 것은 기능지구이며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