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사
상사
사업
업체
기업체
그룹
상회
스페셜
"
기업
"(으)로 총 3,03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②김유중 박사 = “신약개발의 주체는
기업
이지만 한국
기업
규모로는 어려워… 외국
기업
들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해야” ③남인영 박사 = “정부와 기초과학연구자간의 소통을 강화해야… 정부의 창구를 일원화가 관건”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박호용 생명연 박사(인섹트바이오텍 대표)는 “경기침체라지만 실질적 기술력을 갖춘
기업
들은 모두 활발히 투자를 벌이고 있다”면서 “우리도 사업화를 고려한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2009년 5월 28일 출고기사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조언한다. 연구계획 설정과 연구비 분배, 연구원 활용 등을 책임지는 과학계 리더는
기업
을 이끄는 경영자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또 생명과학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정책이 유기적으로 좀 더 통합돼야 한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생명과학 분야의 경우 현재 기초기술 ... ...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얻어 국내
기업
과 연구기관에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현지에 한국 BT
기업
지사를 늘려 나가야 한다”며 “현지인을 적극적으로 고용해 상호협력 체제를 만들어 나가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현지 의사로 근무하고 있다는 한 한국인은 “미국은 임상의사와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및 경쟁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지원자금은 이를 절실히 필요로 하는 한계
기업
들로 흘러들 가능성이 많으며 이는 결국 이들의 퇴출을 막음으로서 산업의 비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결론적으로 현행의 자금지원 위주의 중소정책은 일시적으로 중소
기업
군의 외적인 성장을 이루는데 ... ...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단체는 총 3개. 그 중 2개가 캘리포니아에 있다. 샌프란시스코 인근, 바이오벤처
기업
들이 모여있는 베이(BAY) 지역 한국인 과학기술인들의 모임인 베이커스(BAKAS)와 대학 연구원 및 박사과정 학생들의 모임인 콜리스(KOLIS)가 그것이다. 심포지움은 콜리스 주최로 버클리 대 세미나실에서 진행됐으며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평가시스템 필요=정량적 바이오 비즈니스 모델 수립, 공신력 있는 기관을 중심으로
기업
가치 평가시스템 마련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으로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정진 대웅제약 바이오연구소 소장도
기업
과 정부부처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
기업
연구소의 입장에서 기술료는 부담스러운 부분”이라며 “기술료 정책을 바꾼다면 사업화 성공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또 “정부의 과제별 규제가 까다롭기 때문에 연구자들의 참여가 어렵다”고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
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끌었기 때문에 해당 분야가 기간산업으로 성장한 것처럼 바이오산업에도 리딩
기업
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학회장이 이를 위한 방안으로 꼽은 것은 정부의 조정능력. 그는 "광범위한 바이오산업의 응용분야 중에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꼽아야 한다"며 "좋든 싫든 1위를 찾아내서 그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것이 유 단장의 판단이다. 그는 “2,3년 전 중소
기업
청에서 관련법을 마련해 연구소
기업
을 만들어 투자도 받고 연구원이 직접 사업에 나서는 환경을 만들었다”며 “그러나 어떤 이유에선지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의성 강조된 연구 육성 필요한 때” 2002년부터 8년째 2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