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4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개발 치매 치료제, 내년 첫 임상시험 돌입…“조기 상용화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6.17
- 자료: 치매DTC융합연구단 한편 연구단은 피험자에게 가상현실(VR) 영상을 보여 주고
뇌
파(EEG)와 자세 변화, 안구의 움직임 등을 측정해 치매 발병 여부를 진단하는 치매 조기예측 시스템도 개발했다.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치매를 진단할 수 있는 이 시스템은 현재 삼성서울병원에서 테스트 중이다. ... ...
오메가3의 효능은 여전해...아이 심장 건강에 유익
2018.06.17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겠지요. 한편 많이 알려져 있다시피 오메가3는 태아의
뇌
및 눈 발달에도 중요한 영양소로서 오메가3가 풍부한 등푸른 생선 섭취는 임산부에게 자주 권장되곤 합니다. 그런데 아이의 심장질환 예방을 위해 위험인자가 되는 허리둘레를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 ...
공간 일부만 보고 전체 모습 유추하는 AI… 2D 장면 몇 개로 3D 영상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6.15
분야를 다양하게 확장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영국 런던칼리지대 연구진과 함께 동물
뇌
에서 위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모방해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길 찾기 능력을 가진 AI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 ...
인공지능의 스승은 누구? 첨단 인공지능 뒤에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4
않은 아이의 얼굴을 예측하는 걸까? 인공지능은 갓 태어난 아기와 비슷하다.
뇌
가 발달해 있지만, 아직 어떤 것이 사람이고, 어떤 것이 자동차인지 알지 못한다. 아기는 세 살까지 수억 개의 이미지를 보고, 부모가 ‘저게 자동차야’라고 수백 번을 알려줘야 비로소 ‘둥그런 바퀴가 네 개 ... ...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6.14
일으키는 ‘내측 전두엽’이 활성화한다. 실험결과 쥐의
뇌
에서 기저측 편도를 자극하자
뇌
중앙에 있는 ‘배측 중심선시상(vMT)’이 활성화됐고, 내측 전두엽을 자극하자 ‘재결합핵’이 활성화됐다. 공포를 느끼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신경회로가 밝혀진 셈이다. 연구팀은 실제로 ... ...
선거 이후...결과 스트레스 이겨내야
과학동아
l
2018.06.13
촉진시킬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지만 정치적 사안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두
뇌
가 완충 효과를 보여준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출처 :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 편집자주. 4년마다 치러지는 전국 동시 지방선거는 삶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우리의 삶을 바꾸는 중요한 ... ...
꿀벌도 이해하는 0의 개념... 0에 대한 궁금증들
2018.06.13
추상적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100만개 미만의 뉴런을 가진
뇌
로 추상적인 0을 감지해낼 수 있다면 인공지능이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때 좀 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및 참고 : http://science.sciencemag.org/content/360/6393/1124 ... ...
뇌
에 붙이는 초박막 생분해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6.12
뇌
에 붙일 수 있을 정도로 얇은 생분해성 바이오센서”라며 “외상성
뇌
출혈 등 다양한
뇌
질환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될까. 이 경우 밤 11시에는 카페인 70(10+20+40)이 남는다. 밤 11시에 아데노신이 130임에도
뇌
는 카페인의 방해로 수면압력을 60으로 측정한다. 생체시계 각성도 30을 고려하면 수면욕구는 불과 30이다! 도저히 잠이 안 와 뒤척거리다 2시가 됐고 아데노신은 160까지 치솟았다. 카페인 수치가 50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침팬지보다 인간의
뇌
가 3배 더 큰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강렬한 눈빛을 가진 수컷 보르네오오랑우탄이 차지했다. ‘거대한 유인원의 게놈들’이라는 표지 제목이 눈에 띈 ... 때 오히려 그 기능이 발달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특정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오히려 인간의
뇌
가 더 커졌다”고 밝혔다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