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뉴스
"
발사
"(으)로 총 3,1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이 먼저 준비, 정부 나중에 설득”
2015.03.24
자체 검토를 통해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한 뒤 정부를 적극적으로 설득해 망갈리안을
발사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우주 개발에서는 후발 주자이지만 뛰어난 전문가들이 열심히 하고 있어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필요하면 한국과 인도의 우주기술 협력도 ... ...
손목에 차기만 하면… 자기장-음파로 암세포 제거
동아일보
l
2015.03.20
된다. 구글 측은 신경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에 걸린 사람이 이 기기를 손목에 차면
발사
된 자기장이 파킨슨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성질을 변형시켜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암세포를 변형시키거나 파괴해 암의 전이까지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새로 ... ...
‘아리랑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
2015.03.11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간 개발한 아리랑 3A호는
발사
후 4년 간 528km 상공에서 지구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위성 중량은 1.1t으로 한국위성 최초로 고성능 적외선 센서를 탑재해 야간에도 관측이 가능하다. 또 적외선 센서와 함께 0.5m급 국내 최고 해상도 ... ...
왜소행성 ‘세레스’ 오늘 밤 인류 첫 탐사
2015.03.06
예정이어서 당분간 왜소행성 탐사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뉴호라이즌은 2006년
발사
된 뒤 2007년 목성을 지나며 고해상도 사진을 보내오는 등 명왕성까지 남은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 ...
물속에선 문어가 제일 잘나가
과학동아
l
2015.02.20
소재로 로봇 몸통을 만들었다. 로봇은 물을 채워 몸을 부풀린 뒤 뒤쪽 방향으로 물을
발사
하고, 이어 몸통이 빠르게 수축해서 가속도를 얻는다.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1초다. 어뢰와 같은 딱딱한 물체는 물과 부딪히며 에너지를 잃지만, 문어 로봇은 오히려 주위의 물을 ... ...
2020년 달 표면 누빌 한국형 로버 첫 공개
2015.02.17
이우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오른쪽)이 16일 서울 성북구 KIST에서 열린 개발 시연회에서 달 탐사 로버에 대해 설명하고 있 ...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강 연구원은 “2017년까지 설계도를 확정해야 2020년 달에
발사
할 로버를 완성하는 데 일정상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프로젝트 역시 동시에 진행 중이다. 그러나 TGLAS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인공위성을
발사
할 수 있고 많은 자원이 필요한 군용 F-15를 동원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라이언 디블리 GALS 프로젝트 수석 엔지니어는 “이번 실험은 글라이더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각종 부품의 부하를 ... ...
‘메이드 인 코리아’ 인공위성 컴퓨터 2017년 우주로
2015.02.15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위성이 임무를 수행하는 데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2017년
발사
예정인 100kg ‘차세대소형위성’에 이들을 달아 우주에서 첫 실전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기술 보완을 거쳐 차세대중형위성 등 국내에서 개발하는 모든 인공위성에 이들을 장착할 계획이다 ... ...
우주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주파수 전쟁’
2015.02.13
내릴 수 없다. 지상 주파수와의 혼선도 위성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다. 2006년
발사
된 ‘아리랑 2호’는 2011년 영상 신호에 잡음이 섞여 들어오는 현상이 발견됐다. 백방으로 원인을 찾은 결과 위성 관제센터 인근에 설치한 와이브로(Wibro) 주파수와 혼선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 ...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
2015.02.12
되면서 카메라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좌] 1977년 태양계 탐사 임무를 띠고
발사
된 보이저 1호, [우] 1979년 보이저 1호가 목성에 접근해 찍은 사진 - 미국 NASA 제공 세이건도 인정했습니다. 또 이렇게 말하죠. “물론 내 아이디어가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그의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