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말했다.세 개의 행성은 모두 NASA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으로 발견했다. 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행성이 별 주위를 돌 때 별빛을 조금 가리면서 점을 만드는 걸 보고 외계행성을 찾는다. 점이 클수록 행성도 크다. 지금까지는 지난해 발견된 케플러42d가 가장 작은 행성이었다. 케플러42d는 지구의 절반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몸에 이상이 생기면 여기저기 아픈 곳이 생긴다. 처음에는 느끼기 힘들 정도로 작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을 소홀히 여기지 않고 병원을 찾는 환자는 원인을 ...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PART 3. 중력이 수상하다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PART 5.
우주
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낭비했다고 한다면 동의할 수 없습니다. 우리 연구원들 다 어깨 너머로 배웠습니다. 우리
우주
발사체 기술이 나로호 개발 전에는 선진국 대비 47%였는데 지금은 86%로 올라갔습니다. 엔진만 따져도 30%에서 60%로 올라갔습니다.”“논란이 있는 건 아는데 저는 긍정적으로 봅니다. 대통령이 관심을 갖는 ... ...
스타워즈의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영화 스타워즈에서 한 솔로가 타는
우주
선 ‘밀레니엄 팔콘’이 하이퍼스페이스로 진입할 때면 전방의 별이 순식간에 직선으로 늘어나며 뒤쪽 ... 평소에 보이지 않는
우주
배경복사의 파장이 짧아지면서 가시광선 영역으로 넘어온다. 이
우주
배경복사가 희뿌연 구름으로 보이는 것이다 ... ...
200호 영예의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수여됩니다. 200호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의 반전스토리상 수상자는 바로….‘코봇의
우주
대모험’ 이충호 작가님입니다~! 감동적인 스토리로 어린이과학동아 독자의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특히 최근 얀이 여자라는 반전을 보여 모두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셨어요.역시 어과동 최고의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다른 연구 활동 이야기를 들으며, 사람들의 편리를 위해 생각보다 훨씬 더 지구와
우주
를 괴롭히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문제를 함께 토론하며 문제 제기와 새로운 해결 방안에 대해 짧게 나누는 시간이 흥미로웠다. 이어서 박사님께서는 천문학자가 되려면 주어진 문제만 푸는 것이 아니라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여자아이는 울상인 표정으로 큰소리를 쳤다.“내려 줘! 내려 줘!”“늦었어. 이미
우주
선이 출발했다고. 그리고 한동안 네가 있던 곳은 중력 역전 현상으로 인해 위험할거야. 그런 곳에 당분간 가고 싶지 않다고.”여자아이는 야속한 눈을 하고 폴리스를 노려봤다. 폴은 어색한 분위기를 바꾸기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쌍둥이 책을 기획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두 책은 다 국내 최고 수준의 물리학 번역가와
우주
생물학 전문가가 번역에 참여했으며, ‘세상은 어떻게 끝나는가’는 2012년 아태이론물리센터 올해의 과학책 중 하나로 선정됐다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스마트무인기사업단은 지난해 수직 이착륙과 고속 비행이 가능한 ‘틸트로터’ 무인기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 기간은 약 10년. 이륙할 때는 헬리콥터처럼 프로펠러(로터)가 달린 날개를 수직으로 세웠다가 비행할 때는 일반 비행기처럼 수평으로 바꾼다. 영화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위해서 비행체를 최소한의 크기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다.
우주
탐사를 위한 무인기는 이미 연구되고 있다. 탐사 대상 행성의 대기 조건과 중력 및 기타 비행에 필요한 물리적 조건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얼마든지 설계해서 시험할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도 가능하고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