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정거장에 새 식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타고 2011년 2월에 ISS로 떠났답니다. 로보넛2의 역할은 우주공간에서 로봇이 할 수 있는 일을 미리 시험해 보는 것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에요 ...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있는 힘껏 하늘 높이 뛰어보자. 1초도 안 돼서 도로 땅에 떨어진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소용없다. 이처럼 우리는 평생 동안 단 일분일초도 중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PART 3. 중력이 수상하다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눈발이 흩날리던 지난 1월 16, 17일 중력파 국제 컨퍼런스가 열리고 있던 서울대 연구공원 강당을 찾았다. 중력파 연구의 역사를 짚어보고, 현재 연구 현황과 앞으로 ...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PART 3. 중력이 수상하다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한다”고 제안했다. 로고진 부총리는 “지금으로선 어느 나라도 운석이나 소행성 등의 우주물체를 파괴할 능력이 없다”고 덧붙였다.미국 하와이대 천문연구소의 아틀라스(ATLAS) 관계자는 “만일 아틀라스가 가동 중이었다면 러시아 첼랴빈스크 주 상공에서 폭발한 소행성을 사전에 발견하고 하루 ...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회복하고자 현재 장밋빛 우주개발 계획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분명 북한은 우주개발에서 우리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 우리의 경쟁국은 인도, 일본, 중국, 유럽, 러시아, 미국 등이다. 외국의 어떤 로켓공학자는 ‘로켓은 과학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로켓 기술은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 ... ...
- 태양풍은 초신성 연구용 입자가속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입자가속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과 유럽우주국, 이탈리아우주국 공동연구팀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가 토성 주위의 충격파에서 초고에너지로 가속된 전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현상은 초신성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과 비슷하다.초신성이 폭발한 뒤 잔해가 빠른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지식뿐만 아니라, 취재에 대한 많은 것도 배우게 되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한국형 발사체 계획이 성공을 거두길!임진혁(부산 신곡초6)우리나라는 현재 한국형 발사체(KSLV-2) 계획 및 설계도를 완성했으며, 2020년에는 ...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몸에 이상이 생기면 여기저기 아픈 곳이 생긴다. 처음에는 느끼기 힘들 정도로 작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을 소홀히 여기지 않고 병원을 찾는 환자는 원인을 ...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PART 3. 중력이 수상하다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낭비했다고 한다면 동의할 수 없습니다. 우리 연구원들 다 어깨 너머로 배웠습니다. 우리 우주발사체 기술이 나로호 개발 전에는 선진국 대비 47%였는데 지금은 86%로 올라갔습니다. 엔진만 따져도 30%에서 60%로 올라갔습니다.”“논란이 있는 건 아는데 저는 긍정적으로 봅니다. 대통령이 관심을 갖는 ... ...
-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말했다.세 개의 행성은 모두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발견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행성이 별 주위를 돌 때 별빛을 조금 가리면서 점을 만드는 걸 보고 외계행성을 찾는다. 점이 클수록 행성도 크다. 지금까지는 지난해 발견된 케플러42d가 가장 작은 행성이었다. 케플러42d는 지구의 절반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