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전달되려면 거리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 아주 먼 거리의 퀘이사에서도 감마선 분출이
관측
되는 것이 보고되기도 한다.우주공간에는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감마선도 더욱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아무튼 우주 감마선의 실체가 밝혀지면 우리의 에너지 개념은 커다란 변혁을 가져올 것이다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디아망을 발사하는 데 성공한 이후로 우주 기술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현재 지표
관측
위성인 스팟을 비롯해 약 30여개의 프랑스 인공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고 있으며 이들을 지구궤도에 진입시키기 위한 발사체인 아리안로켓의 개발도 유럽 10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한 유럽우주국(ESA)에서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않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상대성이론에서도 이와 매우 흡사한 결론이 나타난다. 우리는
관측
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각각의 시공간이 정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러므로 어떤 절대적 의미를 갖는 시간과 공간은 우리 우주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바로 여기에서 시간과 공간의 근원(根源)이 ... ...
국내지하수 17%가 환경기준을 초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둘째, 정확한 지하수의 현황파악을 통한 정보관리에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관측
, 지하수의 이용과 오염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정보화해 오염의 예측과 예방을 시행해야 한다.셋째, 지하수질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현재 지하수의 수질은 음용수에 준하고 있으나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우리은하 중심 궁수자리에는 삼렬성운 오메가성운 등과 같은 밝고 아름다운 성운들로 가득차 있다. 쌍안경이나 저배율의 광시야 망원경으로 이 지역을 훑어보자.기승을 부리 ... λ Sgr의 북서쪽 1도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이것이 성단으로 인식된 것은 허셸의
관측
이후다(1만5천광년)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hcp)가 체심입방구조(bcc)로 바뀌는 상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실제로 정밀 실험에서
관측
된 바 있다(그림7). 그러면 페르미온으로 넘어가 보자. 초전도체 속에서 고온의 기체상태 전자들이 온도가 떨어지면서 액화될 때는 에너지 갭(gap)이 있기 때문에 저온 에너지 상태의 분포는 (그림8)과 같다. 그후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모습올 보이고 있다. 팽창하는 모습은 모든 은하들이 서로 반대로 멀어지고 있는 허블의
관측
결과와도 동일한데 이는 어느 방향과도 동일함올 보여주는 모델이었다.보통 고무풍선 모형을 도입하게 되는데, 풍선 표면의 점무늬를 은하라 할 때 만일 풍선이 부풀어 오르게 되면 표면의 점들이 서로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되살립시다."한편 전국 주요도시의 대기오염 정도를 상대적으로 측정하는 전국별자리
관측
회는 8월 16, 17, 18일 3일 동안 25개 지역에서 개최됐다. 결과분석은 과학동아 10월호에 자세히 게재될 예정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적외선 감지소자는 주로 위성의 원격탐사 장비에 많이 쓰이는 것으로 이미 여러 대형
관측
위성에 쓰이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이 소자를 우리별 2호를 통하여 우주에서 실험해봄으로써 앞으로 위성용 원격탐사 장비를 개발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 ...
지구온난화현상 해명 위한 획기적 방법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구의 과거 온도변화과정을 파악하려 하고 있다.현재의 문제는 한정된 지역에서의 기상
관측
데이터는 존재하지만 과거의 기온변화에 대한 확실하고 광범위한 데이터가 없다는 점이다. 이 공백을 메워주는 것이 지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최근 우리가 딛고 선 땅속에 과거의 기온변동이 '화석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