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국시대인은 현대 한국인과 닮았다...게놈 최초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현대 한국인과 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반도에서 수천년 동안 형질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을 뜻한다. 연구팀은 “현대 한국인의 정체성이 확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국시대 고대인의 게놈을 최초로 분석한 연구”라며 “현재까지 나온 한국인 고대 게놈은 주로 남동지역에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것이다. 연소불안정은 해결 방법이 명확치 않아 중대형 액체엔진 개발자들에게는 가장
큰
기술적 난제로 꼽힌다. 개발진은 설계를 12번 바꾼 끝에 10개월 만에 연소 불안정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윤 대통령 누리호 성공에 "항우청 설치해 체계적 지원" 논란 '불씨'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3월 경남 사천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한국형 모델인 항공우주청을 만들고 항공우주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제공 한국형 ... 만큼 사천에 설립되는 게 유력한 상황이다. 그러나 여전히 대전 등 다른 지역에서 반발이
큰
상황이다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목표 고도인 700km 궤도에 초속 7.5km로 올려놓을수 있느냐는 성공과 실패의 가장
큰
요인"이라면서도 "명확하게 두 위성 중 하나가 되면 성공일지 아닐지 기준은 가지고 있지 않다. 정확하게는 700km 플러스마이너스 5% 궤도 올라가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누리호에 이번에 실린 1.3t 위성 ... ...
[생중계] 누리호 오후 4시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누리호 재도전]해외서도 발사 전 멈추는 일 흔해…발사 가장
큰
변수는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누리호 2차 발사]후속 발사로 신뢰성 높이고 차세대 발사체로 달 착륙 도전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 [누리호 2차 발사]개발 ... ...
과기정통부 누리호 1.5t 위성 발사능력 검증한다더니 발사 1시간여 앞두고 성공기준 축소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목표 고도인 700km 궤도에 초속 7.5km로 올려놓을수 있느냐는 성공과 실패의 가장
큰
요인"이라면서도 "명확하게 두 위성 중 하나가 되면 성공일지 아닐지 기준은 가지고 있지 않다. 정확하게는 700km 플러스마이너스 5% 궤도 올라가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 차관의 이런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안하고 주말까지 조치 작업 완료했다. 주말에 전기체에 대한 전기 점검을 했다. 그 결과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래서 오늘 작업을 진행했다. 이날 발사대에서 전기 점검도 진행됐는데 레벨 센서를 포함해 모든 부분이 전기적으로 정상이었다. Q 기상 문제 없나 A 원래 내일 오전 중 비가 ... ...
[누리호 재도전]해외서도 발사 전 멈추는 일 흔해…발사 가장
큰
변수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작용할 요소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위해 점검을 진행중이다. 발사에 있어 가장
큰
변수였던 날씨는 당초 비가 예보됐었던 발사 당일 날씨가 다시 맑을 것으로 예보되면서 우려가 어느 정도 해소됐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발사체가 발사대에 오른 후부터 심지어는 발사 직전 연기되는 사례가 흔한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단장은 “지금의 AI는 인간처럼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잘하기 어려운 게 가장
큰
단점이었다”며 “AI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해결하는 이른바 ‘멀티모달 AI’에 한층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 ...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영국 버밍엄대 그레이엄 마틴 교수는 “독수리나 그와 유사하게 날개가 크고 몸집이
큰
맹금류가 착륙하거나 이륙할 때 두 개의 전선을 동시에 만질 가능성이 크다”며 “전봇대에서 감전돼 죽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우려했다. 안토니 마르갈리다 피레네생태연구소 연구원은 “조류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