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인물/전자통신 연구소 오길록박사 중형컴퓨터개발 어떻게 돼 가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없잖아요. 컴퓨터라면 아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큰일 났습니다."정작 오박사의 전공은
천문
기상학. 대학시절 '포트란'언어를 우연히 배웠다가 졸업후 과학기술연구소(현 과학기술원)에 취직하면서 컴퓨터와 인연을 맺어 20년동안 한길을 걸어왔다.성능에 있어서 절대 외국제품에 뒤지지 않는다는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하늘에서의 이상(異常)현상은 황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경고로 해석되었다.
천문
기상의 이상현상의 관측과 해석이 큰 정치적 중요성을 띠게 된 것이다. 반면에 서양 점성술에서 중요시했던, 천상의 현상과 개인의 운명과를 연결짓는 믿음은 중국에서는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서양의 ... ...
우주의 창- 플라네타리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있는데 돔 직경이 15미터 이상인 것은 1백50개 정도.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제창한 이래
천문
학자들은 그 이론을 증명하기 위한 도구로 천구의(天球儀·각기 다른 위도에서의 별과 성좌를 표시한 것)와 태양 달 행성의 움직을 보여주는 기계적 모형을 제작하는 데 관심을 쏟았다.1919년 독일의 '발트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컴퓨터 과학의 발전은 상대론적 천체물리학에 새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블랙홀을 비롯한 우주세계의 난제가 슈퍼컴퓨터를 통해 3차원영상으로 해석된다. 하루가 다르게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현대 컴퓨터는 천체물리학의 세계에도 커다란 변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는 물론 컴퓨터의 용량이 커지 ... ...
수퍼노바 1987A로부터 확인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이라고 부르며 폭발 후에는 중성자별이 된다.이번 관측(남반구에서만 가능)에는 미국의
천문
학자들이 다수 참석했는데 '로스 알라모스'연구소의 '존미들디치'는 실리콘 검파기를 4m크기의 망원경에 설치해 섬광(Flash)을 측정했는데 검파기는 1초에 1969번의 섬광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
시작도 끝도 없다-플라즈마 우주론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고 말하면서
천문
학자들은 태양계와 태양계밖에서 거대한 전류와 자기장(場)을 발견했으며 이는 실험실에서 관찰한 플라즈마와 매우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전기와 자기의 힘 때문에 긴 물질의 필라멘트가 생겨났으며 이는 ... ...
75센트의 추적으로 스파이망 타진 「컴퓨터 해커」들, 첩보전에도 가담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75센트의 오차를 추적 이번 서독 컴퓨터 스파이 첩보활동이 발각된 것은 미국의 젊은
천문
학자의 예리한 관찰과 끈질긴 추적에 의해서였다. 하버드대학의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의 '클리포드스톨'박사는 지난 86년 자신의 컴퓨터통신요금을 점검하던 중, 75센트의 차이가 나는 것을 발견했다.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이 직선은 4차원세계를 구성하는 4번째 차원이 될 것이다.휜 공간의 차원갈릴레오의 '
천문
대화'가 로마교황의 분노를 사고 있던 1637년, 데카르트는 '방법서설 및 3가지의 시론'을 발표했는데, 3시론중의 하나가 기하학이다. 이 시론에 의해 오늘날의 해석기하학이 탄생되었고 동시에 차원을 ... ...
대기권 밖의 망원경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으며 은하가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 수가 있다. 이것은
천문
학자들이 진정으로 알기를 원하는 것으로 다른 방법으로는 도저히 알아볼 수가 없다.일반적으로 우주 공간에서 관측을 하면 은하를 보다 자세히 연구할 수 있으며 이들의 스펙트럼 사진도 더욱 선명하게 ... ...
진동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피타고라스’나 ‘플라톤’이 탐구한 우주모형으로서의 정다면체 세계나 근대
천문
학의 시조 ‘케플러’가 발견한 태양계 행성의 질서속의 ‘천체의 음악’ 등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진동이 물질의 미세한 수준에 미치는 현상을 계속 탐구한 ‘옌니’도 이런 우주의 비밀에 파고든 한 사람이다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