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밤 11시 별이 비처럼 쏟아진다?...유성우 그것이 궁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3
이루는 도시보다는 인공조명이 없는 어두운 하늘 아래가 감상하기 좋습니다. 도시 불
빛
으로부터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이 좋으며, 주위에 높은 건물과 산이 없어 사방이 트인 곳이 명당이라고 합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환경 변화로 숨겨진 변이가 발현돼 눈알 크기가 제각각인 개체들이 나왔다고 가정했다.
빛
이 들어오지 않는 동굴 안에서는 눈이 필요없기 때문에 쓸데없는 구조를 만드느라 부족한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 눈알이 작은 개체가 선호됐고 이런 과정이 쌓이면서 결국 눈이 완전히 퇴화한 오늘날의 ... ...
[카드뉴스] 2017년 주목해야하는 천문현상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1시경으로, 국내에서는 달이 지고난 뒤라 유성이 잘 보일 전망입니다. 은하수가 보일만큼
빛
이 없고 어두운 지역에서는 1시간에 약 120개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유성우를 볼 기회는 10월에도 찾아옵니다. 매년 10월 중순경 관측되는 오리온자리 유성우인데요. 올해는 10월 21일 저녁부터 22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봉직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버만은 수학의 군이론을 적용해 결정의 상전이와
빛
산란 예측 등 이론고체물리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문들을 발표했다. 중견 과학자로 자리를 잡은 버만은 핍박받는 과학자들을 돕는 데로 관심을 돌렸다. 1970년대 소련과학원의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하게 된 버만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성공했다. 즉 1925년 인도의 물리학자 사티엔드라 보스와 아인슈타인은 광자(
빛
알갱이)처럼 스핀이 정수인 입자인 보손이 무리지어 있을 때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이론을 완성했다. 이에 따르면 극저온에서 동일한 양자상태(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의 보손 입자들이 ... ...
태양 주변에 나타는 비행체?
팝뉴스
l
2016.12.31
사진 아래는 그것을 확대한 것이다. 지난 5년 동안 저 물체가 자주 보였다고 한다.
빛
이 렌즈에 산란되어 나타난 허상일 뿐일까 아니면 비행체일까. 비행체라면 인간이 만든 것은 아닐 것이라는 게 UFO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영상과 위 사진은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을 끌면서 이미지 정체를 둘러싼 ... ...
90돌 맞는 빅뱅이론…불변의 진리? 우주적 거품?
과학동아
l
2016.12.30
38만 년 뒤 나온
빛
. 급팽창으로 생긴 원시중력파의 흔적인 회전무늬(위 그림)가 이
빛
에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 유럽우주국, 하버드대, BICEP2 연구팀, 과학동아 제공 ◯문제3: 암흑물질을 찾아야해~ 과학자들이 은하의 공전 속도를 쟀더니 예상보다 너무 빨리 돌았다. 눈에 보이는 물질들의 ... ...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6.12.30
NASA)의 케플러 망원경을 이용해 ‘HAT-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
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이동했다. 이는 행성의 대기 현상이 매우 심하게 변동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행성의 대기에 대한 모델을 세웠다. 행성의 ... ...
[2017 신년기획_그것이 알고싶닭] ① 산란계? 육계? 무엇이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거친 숨을 내뱉고 날개를 펄럭거리기 시작합니다. 심장 박동도 매우 빨라지고요. 닭은
빛
과 온도에 매우 민감한 동물이다. - GIB 제공 닭은 체온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소모하는 열량보다 체내에 쌓이는 열이 많아져 사료 섭취량이 줄어듭니다. 또 갑상샘 호르몬의 균형이 흐트러지고, 비타민 합성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1995년 성공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 뒤 수년에 걸쳐 녹색 뿐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빛
을 내는 변이 형광단백질을 줄줄이 만들어냈다. 그 결과 세포 내에서 여러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단백질 각각에 다른 색을 내는 형광단백질을 연결하면 되었다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