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빛"(으)로 총 3,998건 검색되었습니다.
- [H의 맥주생활 (20)] 맥주의 편견 '라거는 밍밍하고 에일은 맛이 풍부하다?'2017.02.03
- 싶다는 생각에 오랜만에 라거를 주문한다. 분명 라거를 시켰는데 서빙된 맥주는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다. 또 오렌지, 포도, 살구 등 과일향이 펑펑 터진다. 이 맥주 잘못 나온 거 아닌가요? 몇 번을 다시 확인해도 내가 주문한 맥주가 맞단다. 아, 혼란스럽다. 라거는 황금색에 탄산이 가득한 씁쓸한 ... ...
- 물로 만든 투명로봇, 인형뽑기 기계처럼 물고기를 움켜잡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내놓도록 하면 된다. 수중정찰용 군사로봇으로 쓰일 수도 있다. 하이드로젤 로봇은 빛이나 소리와 반응하는 특성이 물과 거의 비슷해 물 속에서 움직일 때 찾아내기 힘들다. 다만 수압을 만들어내는 외부장치까지 투명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육 연구원은 “하버드대 등 다른 ... ...
- 스마트폰 속에 완벽한 입체영상 구현 가능해졌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안티몬 텔루라이드(GST)’란 물질을 활용해 흔히 사용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으로도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GST는 고성능 메모리 소자 등에 주로 쓰이던 물질이다. 실험 결과 기존 레이저 방식 홀로그램 장치보다 해상도 역시 4배 정도 높아져 디스플레이 최소 단위를 μm ... ...
- 비닐봉투 속 강아지 구조팝뉴스 l2017.01.31
- 건질 수 있었다.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라는 의미로 ‘아노라’(루마니아 어로 ‘빛’이라는 뜻)라는 새 이름을 얻게 된 이 견공의 소식이 강아지 구호단체 아미치 도그레스큐를 통해 전해지자 영국의 한 가정이 강력한 입양 의사를 전해왔고 결국 아노라는 사랑이 가득한 새 가족의 품에서 제 ... ...
- 얼음 구름 탄생하는 순간을 사진으로 찍었다!과학동아 l2017.01.30
-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시원하게 하거나, 지구에서 빠져나가는 방사선을 흡수해 지구를 데우는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복잡한 화학작용으로 공기 중에 얼음 결정 구름이 생기면, 지구 방사선이 더 흡수돼 ... ...
- 강렬한 번개(?)를 일으키는 ‘전기조개’의 비밀2017.01.29
- 그런데, 전기조개는 실제로 전기를 쏘지는 않는다. 생존을 위해 전기 형태의 빛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 조개는 수중 사진가들에게는 아주 좋은 모델이다. 아마도 독자 대부분은 전기조개를 보지 못했을 것이다. 번개 치는 듯한 전기조개의 영상과 함께 새해 복 많이 받으시라는 인사를 ... ...
-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01.29
- 색이었던 빛이 한 가지 색으로 바뀌는 현상을 최초로 관측했다. 박 교수는 “나노레이저 빛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며 “미래 광학컴퓨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 은하수와 진운과 천둥과 우주 정거장 팝뉴스 l2017.01.29
- 빛이다. 사진 오른쪽 아래에 보면 벼락(lightning)이 치고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그 번개 빛이 우주 공간까지 뻗어나가 우주정거장의 태양 전지 패널에 반사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주와 지구가 보여줄 수 있는 아름다운 ‘종합 선물 세트’ 같은 이미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과학동아 l2017.01.27
- 논문의 공동 1저자인 이종하, 유병준 연구원은 “일반 나노입자는 파장이 980nm인 빛만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이번에 개발한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영역대를 흡수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 데이터나 보안 시설의 중요 정보 등을 안전하게 관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 [영상] 우주의 탄생을 설명한 빅뱅이론에 치명적인 결점이 있었다?과학동아 l2017.01.27
- 관측했는데요. 이상하게도 모든 지점의 온도가 정확히 2.7K으로 같았습니다. 심지어 빛의 속도로도 갈 수 없는 먼 양 끝 지점의 온도도 같았죠. 만약 초기 우주가 서서히 커진 게 아니라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하게 커졌다면 이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물리학자 앨런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