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보이는 물질을 ‘강자성체’라고 부른다.물질의 전기 분극(물질의 한
쪽
이 양(+)극성, 반대
쪽
이 음(-)극성을 띠는 현상)이 외부 전기장의 작용에서 강성을 띨 때는 ‘강유전체’, 형태적 특성(변형)이 외부 힘의 작용에서 강성을 띨 때는 ‘강탄성체’라고 부른다.다강체란 두 가지 이상의 강성을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바꿀 수 있는 가방을 제작했다. 평소에는 넓적하지만 주둥이와 바닥면의 모서리 네
쪽
을 접어 단추를 채우면 뭉툭한 디자인으로 변신한다.모양이 변하는 수준을 넘어 가구로 역할이 바뀌는 가방도 있다. 미국 디자이너 닉과 보우 트린시아 형제가 만든 오픈에어는 노트북을 넣고 다닐 수 있는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2011 조립식 캘린더 브로마이드’로 재탄생해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로 제공된다(167
쪽
‘조립식 캘린더 기사’ 참조).중고등부 최우수상에는 강민경 양(서울 동구여자상고 3학년)의 ‘스마트그리드 세상’이, 초등부 최우수상에는 김미주 양(서울 은로초 4학년)의 ‘친환경 개미자동차’가 ... ...
제4회 독자위원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었습니다. 기획 ‘한의학은 과학인가’는 매우 흥미로웠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한
쪽
의견만 다룬 것이 아니라 양측을 모두 다뤄 객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는 분들이 많았습니다.그밖에 10월호와 11월호에 실린 기사에 대해서도 진지한 평가를 해주셨습니다.최근 과학동아에 등장하기 ... ...
과학동아가 확 바뀝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월호부터 새로운 연재가 시작됩니다. 하나하나 알아볼까요?하나全 기자의 로봇만들기(110
쪽
)뚝딱뚝딱 내 손으로 로봇을 만들고 싶지 않으세요? 그 꿈을 과학동아가 이뤄줍니다. 마치 옆에서 로봇을 만드는 것처럼 로봇의 핵심 기술을 하나하나 소개해 줍니다.둘애벌레의 비밀(114
쪽
)꿈틀꿈틀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항생제는 매우 큰 시장이었지만 지금은 심장병, 뇌혈관 질환, 당뇨병처럼 만성질환용 약
쪽
으로 변하고 있다. 비만과 운동부족으로 만성질환자가 크게 늘고 있고 한 번 먹기 시작하면 오랫동안 먹어야 하는 약의 특성상 지속적인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여기에 항생제를 뽑아낼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나는 3개의 N극과 1개의 S극이 안
쪽
을 향하고 다른 하나는 1개의 N극과 3개의 S극이 안
쪽
을 향하는 일이 벌어진다. 따라서 사면체를 한 단위로 보면 앞의 것은 N극, 뒤에 것은 S극을 띠게 된다.여기에서 외부 자기장을 정교하게 걸어줬다. 그러자 스핀이 뒤집어지는 게 마치 도미노처럼 옆으로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공포와 슬픔으로 가득 찬 곳이 됐다. [❹ 연평도 북동
쪽
에 있는 전]망대에서는 북
쪽
바다와 땅을 선명히 볼 수 있다. 실향민들은 자주 이곳을 찾아 그리움을 달랜다.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등 ‘노벨 주간(Nobel Week)’의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동안 이 호텔에 머문다.그리고 벽
쪽
테이블에 앉아 있는 흰 머리의 신사. 노벨 물리학상 심사위원 5명 가운데 한 사람인 뵈리에 요한손 웁살라대 교수다. 그는 10월 5일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에서 물리학상 수상자를 전 세계에 생중계로 발표할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논문을 쓸 때 공동 제1저자나 공동 교신저자를 요구하기 마련인데 코노 박사는 어느
쪽
도 요구하지 않았다고. 그런데 이들 네 사람은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하려고 이 자리에 모인 것일까.“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는 초고체 현상이 극저온에서 고체헬륨이 보이는 본질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결정의 결함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