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난 설날 일본으로 여행을 다녀온 친척에게 선물을 하나 받았다. 일본 학연사에서 만든 ‘대인의 과학 마가진(매거진) 10호’라는 두꺼운 잡지였다. 일본어라고는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 원리를 다룬 기사와 이를 응용한 제품이 만난 신개념 잡지가 자리 잡을 날이 멀지 않은
셈
이다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주계열성으로 살아간다. 태양은 앞으로 50억 년가량 지금과 비슷하게 지낼 수 있는
셈
이다. 하지만 약 50억 년 뒤 중심에서 수소를 다 태우고 나면 태양은 덩치가 지금보다 훨씬 커져 ‘적색거성’(red giant)으로 변신한다. 불타거나 얼거나, 또는 메마르거나최근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수십억 년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통과하는 전극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 만큼 누설되는 전류를 잡는 수문장을 두 배로 늘린
셈
이다.나아가 1990년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장피에르 콜린즈 교수는 게이트 전극이 전류통로 전면을 감싸는 구조인 ‘전면게이트’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수문장이 통로 전체를 지키고 있기 때문에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않은 곳까지 치료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3차원 영상이 2차원 영상의 한계를 극복한
셈
이다.최근에는 3차원 영상을 뛰어넘는 4차원 영상도 도입되고 있다. 일명 ‘가상영상’이라 불리는 이 영상은 일종의 ‘컴퓨터 속 아바타’다. 환자를 3차원 CT로 촬영한 뒤 컴퓨터 속에서 장기와 혈관, 피부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가 된 뒤 음악을 할 수는 있습니다. 죽는 날까지 행복하게 누릴 수 있는 취미를 얻은
셈
이죠.”‘흘러갈 때는 내가 흘러가는지 모르지만 한 발짝 떨어져서 보면 비로소 흐르는 모습이 보인다’는 이문열 ‘삼국지’의 한 구절처럼 음악은 그에게 잠시 연구에서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게 해 주는 ... ...
컴퓨터로 열대어 키운다 컴피쉬 COMFISH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닥에 가라 앉은 배설물과 먼지를 띄워주지. 물만 갈아줘도 청소하는 효과가 나는
셈
이야.컴퓨터가 다 하면 사람이 할 일이 없을 것 같아? 그렇지 않아. 먹이는 사람이 줘야해. 내가 할 수 없다는 사실이 안타깝지. 열대어가 보기에 사람 손가락이 먹이를 주니까, 나중에는 어항 근처에 사람 손가락만 ... ...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거대한 뻐꾸기는 다른 새의 둥지에 몰래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르는 습성 때문에 염치없는 동물로 유명하다. 하지만 최근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의 행동이 드러났다.덴마크 코펜하겐대 ... 뻐꾸기가 다른 새의 알 색깔과 무늬를 모방한 것처럼 나비는 개미의 냄새를 모방한
셈
이다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눈부실 만큼 찬란한 금의 뒷면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 아픈 사연이 얽혀있는
셈
이다.금의 원소기호 ‘Au’는 헤브라이어로 빛을 뜻하는 ‘aus’에서 왔다. 영어의 gold도 산스크리트어로 빛을 뜻하는 ‘jvolita’에서 땄다. 금의 황색은 고귀함을 뜻한다. 그러나 그 빛이 잘못 쓰여 인류를 억압하는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추위와 싸우며 생긴 치밀하고 단단한 나무 조직 덕분에 울림 좋은 악기로 태어난
셈
이다.연세대 대기과학과 안순일 교수는“나무의 나이테로는 수천 년 전의 계절 변화를 짐작할 수 있고, 호수와 습지에서 발견한 꽃가루화석, 빙하코어로는 수십만 년 전의 기후까지 복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500×500m 수준이니 관측 영역을 가로, 세로 5000개의 격자로 나눠 정밀하게 살필 수 있는
셈
이다.정지궤도위성은 지금까지 주로 통신 목적으로 사용됐지만 COMS의 경우 한반도 주변 바다를 집중적으로 관측하기에 안성맞춤이다. 6시간 간격으로 바뀌는 밀물과 썰물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중국 양쯔강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