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손가락 한 마디가 대략 10x10mm이므로 인조손가락 한 마디에 필요한 촉각센서는 약 100개인
셈
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힘측정 및 평가연구실은 힘과 온도를 감지하는 인조피부를 개발한다. 현재 제작된 센서는 사람의 피부처럼 신축성이 있으며 접촉감과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64개의 힘 센서로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장내세균 사이에도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속담이 그대로 적용되는
셈
이다.인체 즉 숙주만 장내세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공생세균 역시 무시못할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지금까지 비만이나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관련 질환은 대사관련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 주변에서 버섯이 난다. 버섯은 소나 말이 이동한 거리만큼 자신의 포자를 퍼뜨리는
셈
이다. 이처럼 초식동물을 이용해 포자를 옮기는 버섯은 소똥버섯류, 환각버섯류가 있다.멧돼지가 포자를 옮기는 버섯도 있다. 감자 모양으로 일생을 땅속에서 보내는 송로버섯이다. 다 자란 버섯은 멧돼지가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후두 입구를 닫는다. 음식물이 폐로 들어가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혀가 폐를 보호하는
셈
이다.만약 음식물이 폐로 들어가면 흡인성 폐렴에 걸린다. 이는 치사율이 높은 병이다. 정상인의 경우 손가락을 입안에 넣으면 구역질이 나는데, 이는 구역질반사(gag reflex)로 약물이나 정신적인 자극 또는 혀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폐전자제품은 약 860만 대로 무게로 치면 29만 2000톤에 이른다. 매일 800톤 분량이 버려진
셈
인데, 이 전자쓰레기를 10톤 트럭 80대에 나눠 싣고 소각장이나 매립지로 운반한다고 가정하면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소모되고 온실기체가 배출될 것이다. 게다가 전자제품의 주성분은 플라스틱과 금속이므로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올해 말쯤 발표할 예정이다. 재(再)활용이 아닌 재(滓)활용인
셈
이다. 백해무익해 보이던 소각재의 몸값을 껑충 뛰게 만든 것은 국내의 쓰레기 배출 현실에 맞는 토종 과학기술이다. 덕분에 ‘한 줌의 재가 돼 사라진다’는 말 대신 ‘한 줌의 재가 지구를 살린다’고 표현할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먹고 자란다. 곤충과 함께 버섯은 자연의 물질순환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
이다.흰개미집버섯은 아주 맛있는 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흰개미의 유충이나 성충 사체로부터 단백질이나 인을 섭취해 균사에 축적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야를 돌다 보면 계곡물이 가까운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는 살충제를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도 낸다. 이 교수에게 자연은 레고블록 놀이터인
셈
이다. 레고블록으로 집을 짓고 건물을 세우듯 유기합성과학자는 다양한 원자를 조립해 원하는 물질을 만든다.원자를 조립할 때 원치 않는 부산물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거울상 이성질체’라 부른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자신이 폭력적인 행위를 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폭력의 거울뉴런이 활성화되는
셈
이다.또 어릴 때는 부모 같은 역할 모델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한다. 거울뉴런이 제대로 반응하려면 살아있는 대상이 행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로봇기술이 발달하고 있지만 현재 수준의 휴머노이드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연연할 필요 없고 식량을 원료로 사용한다는 한계도 극복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인
셈
이다. 오스트리아와 일본은 폐식용유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해 성공을 거뒀다. 2005년 오스트리아 그라츠는 가정과 식당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를 재활용해 버스 150여대의 연료로 사용했다. 일본 교토는 1년간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