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 어느 때보다 외국인들의 관심을 받았다. 친환경 과학기술로 브랜드의 가치를 높인
셈
이다.현대자동차가 가장 자랑스럽게 내놓은 ‘아이모드’(i-Mode)는 윈드실드 글라스와 사이드 및 루프글라스를 바이엘의 친환경 신소재인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기존 강화유리에 비해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작명까지 멋지게 했다고 부러워했지만 결과적으로 김 교수팀의 ‘매직’은 딴 데 있었던
셈
이다.당시 실험과 논문 조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사람은 교신저자인 김 교수와 제1저자인 원재준 박사(당시 박사과정), 제3저자인 이용원 씨(당시 박사과정)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원 박사는 현재 미국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장착하면 적외선을 볼 수 있다. 야간 투시경을 따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지는
셈
이다. 군인들은 시각을 강화해 적진을 안전하게 탐색할 수 있다.굳이 눈 속에 인공망막 칩을 심지 않더라도 간단한 보조장치 하나만으로도 멀리 있는 것을 가까이, 보통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것까지도 보는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못한 세포는 냉정하게 자살을 유도한다. 세포가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는
셈
이다.암환자의 절반 이상이 p53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데, 조 단장은 p53 단백질에서 변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아미노산의 구조를 분자수준으로 밝혔다. 미국 코넬대 유학시절의 일이다.집의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퀴리가 시작해 대를 이어 내려온 멘토링 덕분에 퀴리 가문은 과학의 명가(名家)를 이룬
셈
이다. “나는 (비틀린) 손으로 과학을 한다”멘토링의 중요성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사례를 같은 시대에 같은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지만 다른 평가를 받은 두 여성과학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폐전자제품은 약 860만 대로 무게로 치면 29만 2000톤에 이른다. 매일 800톤 분량이 버려진
셈
인데, 이 전자쓰레기를 10톤 트럭 80대에 나눠 싣고 소각장이나 매립지로 운반한다고 가정하면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소모되고 온실기체가 배출될 것이다. 게다가 전자제품의 주성분은 플라스틱과 금속이므로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혁신시킨 한 과학자의 지적 모험이 생명의 기원을 밝히는데도 중요한 기여를 한
셈
이다. 인트론*한 유전자의 DNA서열 가운데 아미노산으로 번역되지 않는 부분. DNA에서 전사된 초기 mRNA는 인트론이 제거된 뒤 리보솜으로 이동해 아미노산 서열로 번역된다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선진국에서 순수과학은 보수와는 크게 상관없이 정말 하고 싶은 사람만이 하는 일인
셈
이다.미국 생활에 적응하느라 고생하고 각국에서 모인 연구자들과 티격태격하며 적응해나가고 때로는 밤샘연구도 하고 꿈에도 그리던 저널에 논문도 내보고…. 5년 동안 실험실 생활의 진수를 골고루 맛본 신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는 살충제를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도 낸다. 이 교수에게 자연은 레고블록 놀이터인
셈
이다. 레고블록으로 집을 짓고 건물을 세우듯 유기합성과학자는 다양한 원자를 조립해 원하는 물질을 만든다.원자를 조립할 때 원치 않는 부산물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거울상 이성질체’라 부른다.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올해 말쯤 발표할 예정이다. 재(再)활용이 아닌 재(滓)활용인
셈
이다. 백해무익해 보이던 소각재의 몸값을 껑충 뛰게 만든 것은 국내의 쓰레기 배출 현실에 맞는 토종 과학기술이다. 덕분에 ‘한 줌의 재가 돼 사라진다’는 말 대신 ‘한 줌의 재가 지구를 살린다’고 표현할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