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식물 1백만종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유엔환경계획(UNEP)의 클라우스 퇴퍼 사무총장은 “생물이 대규모로 멸종하면 먹을 것과
집
, 의약품 등을 자연에 의존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수십억명도 위험하다”고 말했다. 인간 때문에 생물종이 멸종하고, 그 결과 다시 인간이 위험해지는 비극의 고리를 끊기 위해 전세계적인 노력이 시급하다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연구를 하게 된다. 여기서 유용한 유전자가 발견된다면 미리 만들어둔 최소 게놈에
집
어넣어 새로운 맞춤형 미생물을 탄생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그러나 인공생명체 탄생의 길은 아직 멀어 보인다. 박테리아의 게놈은 바이러스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크다. 벤터 박사는 약 30만개의 염기로 이뤄진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혁명 유비쿼터스가 온다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2. 가정_
집
이 곧 컴퓨터다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6. 의료_좌변기에 앉아 건강검진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혁명 유비쿼터스가 온다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2. 가정_
집
이 곧 컴퓨터다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6. 의료_좌변기에 앉아 건강검진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않았습니다.뉴턴이 가장 좋아했던 초상화는 로마 시대의 기둥 옆에서 당시 지식인들이
집
에서 쉴 때 입는 호사스러운 가운을 입고 시인처럼 몽환적인 표정으로 앉아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고 합니다. 낭만주의가 판치던 당시엔 천재란 시인과 같이 상상력을 펼치는 사람들에게나 어울리지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여러 이론들이 등장하면서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은 암흑기를 맞았다. 그 후 1920-30년대
집
단유전학자들이 종 간의 작은 차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엄청난 차이가 된다는 것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증명했다. 이런 움직임이 다시 자연선택 이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됐다.이보디보(evo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원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중류계층 수입의 6-10배를 받는다. 그래도 월동대원을 모
집
하는게 쉽지 않다고 한다.남극은 위험한 곳이다. 남극의 바다는 더욱 위험하다. 그러나 위험하다고 해서 자원의 보고이면서 지구의 비밀을 알려주는 남극에 대한 연구를 피할 수는 없다. 우리가 남극을 계속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믿을 만하고 영구적인 형태로 남기는 도구가 절실히 필요했다. 도시가 생기고 중앙
집
권적 경제가 자라면서 왕국이나 신전의 서기관들은 신전에 딸린 저장창고에 드나드는 곡식의 수량, 양과 염소의 수를 기록하기 위해 문자를 사용했다. 고대인들은 기록을 통해 기억력의 한계를 해결하려는 새로운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튀길 때 공업용(식품 가공용) 쇠기름을 쓴 사실이 밝혀지면서 라면 업계는 몰염치한
집
단으로 몰리며 큰 타격을 입었다. 그 뒤 이들 중 상당수가 팜유같은 ‘순식물성 기름’을 쓰기로 했다며 대대적으로 홍보전을 폈다. 그렇다면 과연 팜유가 쇠기름보다 몸에 좋을까?천만의 말씀이다. 팜유에는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하루에 6백마리 이상, 도시에서 가장 흔한 빨간
집
모기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
집
모기 유충은 1천1백마리까지 포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미꾸라지가 강력한 모기 천적으로 밝혀진 이후 1998년부터 전남 여수시 보건소를 필두로 경기도 안산시, 전남 신안군, 경기도 파주시의 보건소에서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