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들어가면 급속하게 얼어붙으며 동그란 구슬아이스크림이 돼요. 구슬을 2~3개 만든 뒤에는 숟가락으로 구슬만 떠서 새로운 컵에 옮겨요. 기자단은 이를 반복해 오렌지맛 구슬아이스크림을 잔뜩 만들었어요. 문유비 기자는 “평소에는 사먹기만 하다가 직접 만들어 먹고 과학도 배우니 정말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MEMS가 측정하는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비료가 많다는 의미예요. 또MEMS는 열을 발생시킨 뒤 열이 식는 속도로 물의 속도를 재요. 열이 빨리 식으면 물의 속도가 빠르다는 뜻이지요. MEMS로 물의 속도와 비료의 양을 알아내면 크고 맛있는 토마토를 만들 수 있어요. 햇빛이 강할 때 광합성이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많은 우주인들은 우주에 있는 동안 시력이 나빠지는 것을 경험하며, 지구에 돌아온 뒤 시력의 손상이 이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우주정거장에서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쥐를 인공중력 환경에 노출시키면 시력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미세중력과 인공중력에 각각 쥐를 ... ...
- [시사과학 뉴스] 햄에서 나온 세균, 왜 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정도 두면 알 수 있어요. 보통 세균은 이 온도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세균이 있다면 10일 뒤 그 수가 엄청나게 불어나겠지요. 이때 통조림이 부풀어오르면, 바로 ‘세균이 있다’고 판정하고, 부풀지 않으면 햄의 일부를 떼어내 다시 ●배지에서 배양해요. 이번에 문제가 된 런천미트는 통조림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만약 빨간 물감이 칠해진 바나나를 본다면 먼저 바나나의 모양을 파악하겠지요. 그뒤 그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이 바나나의 원래 색깔인 노란색을 띠는 570~59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길이의 파장인지 분석할 거예요. 하지만 바나나엔 빨간색 물감이 칠해져 있으니 빨간색의 파장대인 625~740nm의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공개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다운 받고 사용법을 공부한 뒤 수많은 오이 사진을 직접 찍어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학습시켰어요. 그러면 인공지능이 스스로 비슷한 오이끼리 분류할 수 있죠. 이 프로그램을 사용한 오이 분류기는 정확도가 70%에 달해 일손을 크게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위해 브로콜리 씨앗 표면에 미생물을 씌웠어요. 이 미생물은 공기 중에서 질소를 먹은 뒤 식물에게 필요한 비료로 바꿔요. 이 비료는 식물이 흡수할 수 있지요. 연구에 참여한 워싱턴대학교의 샤론 도티 교수는 2016년에 식물이 미생물의 도움을 받으면 가뭄과 같은 나쁜 환경에서 잘 견딜 수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에서 화성으로 향하는 우주선으로, 우주인을 화성에 데려다 준 뒤엔 다시 게이트웨이로 돌아오지요. 즉, ‘달과 화성을 왕복하는 셔틀버스’인 셈이에요. 딥 스페이스 트랜스포트는 2033년에 화성 항해를 목표로 현재 개발 중이랍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수목원에 식물 탐정이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찾아 훼손된 희귀특산식물 목록을 복구할 수 있었답니다. 식물 탐정 임무를 완수한 뒤 오후에는 조별로 정원을 꾸미는 임무를 받았어요. 대원들은 드넓은 수목원을 돌아다니며 여러 식물을 하나하나 만나 보고 정원을 꾸밀 식물을 모았지요. 예쁘지만 독이 있는 투구꽃, 열매에서 바나나 맛이 나는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걸음을 멈추고 위치와 높이를 파악해 얼마만큼 움직일지를 계산한 뒤 이를 뛰어 넘어요. 하지만 아틀라스는 움직이는 중에도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답니다. 덕분에 걷는 동작과 장애물을 피하는 동작에 끊김이 없지요. 뿐만 아니라, 한 발 점프로 40cm 높이의 장애물을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