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대도시 도난 범죄 예방 전략 수학 모형에서 찾는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주목한 수학 모형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범죄자와 건물을 포식자-피식자 관계로 설정한 뒤, 범죄자가 최근 범죄를 저지른 시간과 주택이 도난당한 시간을 변수로 설정해 도난 범죄를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모형을 활용해 취약 지점에 대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경찰이 그 지역에 대한 경계를 ... ...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없을까요? 무조건 코딩에 의존하라는 게 아닙니다. 수학 개념을 완벽하게 익힌 뒤에 ‘활용’하는 거죠. 예를 들어 ‘적분’은 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이루는 넓이를 구하는 개념이잖아요. 함수를 적분할 때 ‘구분구적법’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원리를 이해했다면 간단한 함수만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것도 있기 때문이다. 이날도 평소에 수학에 관심이 많다는 이재원 군은 수업이 끝난 뒤에 그날 수업에 쓰인 수학 자료를 이것저것 살펴보고 있었다. 이 군은 다른 반 아이들이 올 때까지도 교실 밖으로 나가지 않고 수학에 푹 빠져있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에서 찾은 새 가족 무엇보다 김 교사의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가축뿐만이 아니야. 우리는 사람을 살리기 위해서도 수십 년 동안 변신해 왔단다. 그 결과 장기 이식을 위해 세균을 모두 없애거나 유전자가 바뀐 돼지들이 ... 이종장기 이식에 관련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규정을 논의한 뒤,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랍니다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질소 양이온은 비행기 앞쪽의 양극에서 뒤쪽의 음극으로 이동하며 주변의 공기를 뒤로 밀어내는데, 이 공기의 움직임이 ‘이온풍’이에요. 비행기는 이온풍의 반작용으로 앞으로 나아간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온풍 추진 비행기는 10초 간 60m를 날 수 있었어요. 바레트 교수는 “이온풍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대기권에 진입해 극초음속으로 비행하지요. 일단 비행기를 수직으로 세운 뒤 추진체를 발사해 땅으로부터 100km 위로 상승해요. 이후 비행기와 발사체를 분리한 뒤, 비행기만 높은 대기로 들어오지요. 이때부터는 별도의 엔진이나 프로펠러를 이용하지 않고 활공해요. 이때의 비행기는 음속보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2번 직진해야 도착할 수 있다면? 먼저, 빨간색 버튼을 1번 눌러 코딩 입력을 시작해요. 그 뒤 초록색 버튼 (↑, 직진) 3번, 하늘색 버튼 (→, 오른쪽으로 회전) 1번, 다시 초록색 버튼 (↑, 직진) 2번, 그리고 노란색 버튼 (←, 왼쪽으로 회전) 1번, 초록색 버튼 (↑, 직진) 2번을 누른 다음 보라색 버튼을 눌러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불을 켜 놨는데, 자동차가 이를 무시하고 지나가는 것처럼 말이에요. 이럴 때는 하나씩 뒤로 돌아가면서 의심이 되는 점을 찾아야 해요. 그러다 보면 사소한 실수나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가 발견되곤 한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험을 수없이 반복했지요. A2 아마 어린이 친구들도 앞으로 ... ...
- [과학뉴스] NASA ‘인사이트호’ 화성 착륙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고도에서 초속 5.5km로 내려오기 시작해 3분 38초 후 낙하산을 펼쳐 초속 550m로 줄였어요. 그뒤, 대기와의 마찰열로부터 탐사선을 보호해주던 막을 분리했어요. 그리고 착륙용 다리를 꺼냈지요. 마지막 1분 30초 동안에는 12개의 역추진 로켓을 이용해 천천히 내려갔어요. 인사이트호가 땅에 착륙하는 데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위해서’라면 믿어지나요? 우리가 색깔을 볼 수 있는 건 눈 속 망막, 더 자세하게는 망막 뒤에 있는 ‘원뿔세포’ 덕분이에요. 원뿔처럼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지요. 망막에는 원뿔세포가 700만 개 정도 있어요. 크게 L원뿔세포, M원뿔세포, S원뿔세포 세 종류로 나뉘는데, 각각 받아들이는 빛의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