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더포드'가 들여다 본 원자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맞지 않고 나무 판자 부분에 맞는 것처럼)α입자는 튕겨나오고 빈 공간에 맞으면 그냥
통과
하리라고 생각했다. 즉 α선의 진행방향이 변하는 회수와 변하지 않는 회수를 관측함으로써 원자의 크기와 핵의 크기의 비율을 알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마치 문짝의 빈 부분에 돌이 맞는 회수와 나무판자에 ... ...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청신호를 신호1주기 1백초 동안 50초를 받는다면 그 길은 한시간에 1천1백대만을
통과
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보통 우리나라의 교차로는 좌회전까지 합쳐서 신호가 네번 바뀌기 때문에 평균잡아 도로의 용량이 교차로에서 4분의 1로 떨어지고 만다. 결과적으로 4차선 도로가 교차로 때문에 교차로가 ... ...
끝없는 미스테리 우주인과 UFO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아기우는 소리 등등 많은소리가 녹음되어 있다. 지난 1월25일에 '보이저'2호는 천왕성을
통과
했다. 89년8월25일엔 해왕성에 도달한다. 해왕성을 관측한 다음 태양계를 벗어나 무한한 우주공간에 뛰어든다. 어느때인가, ET가 탄 UFO가 지구인이 보낸 UFO와 마주쳐, 거기에 실린 지구인의 편지라던가 LP를 ... ...
사무자동화의 최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기기에게 전달한다. 그러나 같은 전송 선로를 여러 노드가 공유하기 때문에 선로를
통과
하는 데이타량이 많아지면 데이타의 전송 시간이 늘어나므로 통신망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다. 반면에 새로운 노드를 망에 추가시키거나, 고장난 노드를 사용중인 망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고 제거할 수 있다 ... ...
미국의 KH11 첩보위성의 현장촬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첩보위성으로 자동차 번호판까지 식별하는 천리안을 가졌다.소련 상공을 하루 네번씩
통과
하는 KH11이 활동을 개시한 것은 체르노빌 발전소 기술진들의 다급한 무선교신을 다른 전자첩보위성이 탐지해 비상사태의 발생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사고가 시작된 25일부터 KH11이 사진을 ... ...
새로운 발견 강력한 중력장의 우주물체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구부러져 지구에서는 마치 두개의 '퀘이사'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강력한 중력장을
통과
할 때 빛이 굽는 현상은 일찌기 1915년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의 결과로 예측된 것. 영국의 '에딩턴'은 1919년 개기일식 때 별의 빛이 태양의 중력으로 약간 빗겨나 보인다는 것을 관측함으로써 이 ... ...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 「통합적이고 완전한 안전대책」모자라다는 지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이때 원자로 용기에 주입된 긴급노심냉각수는 수증기의 압력 때문에 과열된 노심을
통과
하지 못하는 예기치 못한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 원인을 분석한 결과 ECCS 설계가 대형 실용규모에서의 실험에 근거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소규모의 축소실험장치와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적 묘사(Simulation ... ...
성공단계의 무공해 살충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10~18시간의 증식기간이 온다. 이렇게 하여 생긴 바이러스 입자는 핵막과 세포막을
통과
하여 돌출함으로써 외막을 얻게되며, 감염 후 18시간 후 부터는 핵 내에서 막의 생합성이 시작된다. 핵막의 일부가 아닌 이러한 막들은 한개의 바이러스 입자에 여러개의 다발을 쌓은 바이러스를 형성하고 감염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동위원소가 내는 방사선에는 α선 β선 γ선 그리고 중성자선이 있다. 방사선이 물질을
통과
하면 원자궤도에서 전자를 때려내 전기부하를 띠게 한다. 이때의 방사선을 '이온화 방사선'이라 한다. 살아있는 세포가 손상을 입는 것은 이러한 이온화작용 때문이다. 원자력 발전에서 생기는 건강영향을 ... ...
4계절의 기후는 어떻게 바뀌어지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많은 수증기를 공급받아 지형성 강설을 내리기 때문이다. 그밖에 울릉도는 저기압이
통과
하거나 북동쪽이 불 때도 눈이 많이 내린다. 세째로 제주도와 울릉도는 바람이 많은 곳이다. 이들 지역이 일년을 통해 바람이 많은 것은 망망 대해상의 섬이기 때문이다. 해양상의 섬지방은 주위 지형의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