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Zone
구역
시골
지방
지대
죤
스페셜
"
존
"(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발현이 유전적 변이에 영향을 받는 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알렉시스 배틀 미국
존
홉킨스대 교수와 스테판 몽고메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각 조직에 맞는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하는 조직 특이적 돌연변이에 대해 조사4)했습니다. 나머지 두 논문은 RNA 편집 과정2)과 X염색체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
존
감이 높아질까
2017.10.14
‘역시 나는 부족한 사람이야’라며 우울한 결론을 내리게 된다는 것이다. GIB 제공 자
존
감이 하나의 신화가 되고 모두가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무언의 ‘압박’ 또한 사람들을 우울하게 만든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따금씩은 실수하고 실패하며 자기 자신을 좋게만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실수로 준비해 둔 다시마 육수를 쏟았을 때 혼잣말을 ‘몇 마디’ 했다. 글 앞에 인용한
존
윌리엄스의 소설 ‘스토너’에도 스토너의 아내가 찰흙으로 뭔가를 만들다가 잘 안 되자 마치 아이처럼 혼잣말을 하며 해결책을 모색하는 장면이 나온다. 비고츠키에 따르면 아이의 언어회로가 발달하면서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세포막에 있는 여러 펌프를 통해 나트륨이나 칼륨, 칼슘 등 물질을 교환합니다. 다만 기
존
의 X선 결정학으로는 인지질 부분이 나타나지 않아 각 펌프의 구조를 명확하게 아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일본 도쿄대 치카시 토요시마 연구팀은 인지질의 머리부분(인 부분)을 볼 수 있는 방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자신의 감각세계 경험을 일반화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다른 사람들의 취향을
존
중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리차드 파일 박사가 코스타리타 해변의 트와일라잇
존
에서 자신이 개발한 특수 다이버 탱크를 착용하고 탐사를 하고 있다. - SCIENCE / © Howard Hall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식충식물(Insectivorous Plants)’이란 제목의 책을 출간했다. 다윈 진화론의 지지자인
존
러벅 경의 아내인 엘렌 러벅은 책을 읽고 너무 놀라 위의 시를 지어 다윈에서 보냈다고 한다. 끈끈이주걱은 흔한 풀임에도 대다수 사람들은 식충동물이라는 실체를 몰랐기 때문이다. 영어로 끈끈이주걱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합성화학자(발명자)와 기타화학자(발견자)의 괴리는 구태라며 화학의 통합을 강조해온
존
로버츠(John Roberts) 칼텍 화학과 명예교수가 100년에 가까운 삶을 뒤로 하고 눈을 감았다. 1918년 미국 LA에서 태어난 로버츠는 LA 캘리포니아대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치고 몇몇 대학을 거쳐 1952년 칼텍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참이었다. ‘네이처’ 10월 20일자에 실린 부고를 쓴 세 사람 가운데 이론원자물리학자
존
본(John Bohn)은 진의 남편이다. 두 사람은 대학원시절 만나 결혼했고 같은 연구소에서 일하며 공동연구도 많이 했다. 천재 여성 과학자의 때 이른 죽음이 더 안타까운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이렇게 변화하는 것들이 많이 모여서 우주를 구성하는데, 그것을 들여다보니까 기
존
의 자연법칙보다 컴퓨터의 연산법칙(논리곱, 논리합 등)으로 해석하면 이 우주를 좀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IBS에서의 연구를 통해 인류 문명 발달에 기여하고 싶다'는 이수종 단장 - IBS 제공 "IBS에서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