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뉴스
"
재배
"(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 SNS에서 핫한 ‘핑크 뮬리’가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보이기 시작한 때는 3~4년 전이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병충해 피해도 적은 등
재배
가 쉬운 편이라 정원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외관이 독특하고 아름답기 때문에 SNS에서도 핑크뮬리 군락지가 있는 곳이 관광지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핑크뮬리는 여러해살이풀로 볏과 식물이다. ... ...
블루베리가 자녀의 집중력을 높여준다!
2017.10.22
마트를 찾는 엄마들이 늘어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야생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에서
재배
되고 일반 블루베리보다 작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더 높다고 합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음식과 기능(Food & Function)’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유전자교정 식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부터 극복해야 한다. 보이타스 교수는 “자연
재배
식물도 수천 년 동안 자연적 유전자 변이를 셀 수 없이 많이 겪어 왔고, 그에 비하면 유전자 교정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변화”라며 “유전자교정 식물뿐만 아니라 GMO도 충분히 안전하다고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규슈대 연구팀이 섭씨 25도에서 자연광의 55% 정도에 해당하는 빛만 유지하면서 월하향을
재배
한 결과 하얀색에 가까운 꽃이 피었다. 75~100%의 빛을 유지하자 본래의 자주빛이 되살아났다. 어렵사리 개발한 푸른 국화를 언제쯤 실제로 볼 수 있을까. 이번 연구의 주역인 노다 나오노부 NARO 연구원은 ... ...
국내 최대 창작문화축제, 2017 메이크랜드에선 무슨 일이?
동아사이언스
l
2017.09.23
1년) 학생. 두 친구는 다른 친구들과 힘을 모아 친환경 미래 생태 도시에 필요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염지현 제공 이현구 학생은 “선생님이 주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3주 동안 진행했다. 처음엔 불가능할 것 같았는데 이렇게 큰 행사에서 전시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참여 ... ...
30년 뒤 커피 못마실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최대 1.6㎞ 거리에 열대 우림이 있었다. 열대 우림에 사는 수분 매개 곤충 덕분에 커피를
재배
할 수 있는 장소가 된 셈이다. 파블로 임바크 국제열대농업센터 연구원은 “벌이 많으면 생산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커피 열매 무게도 증가한다”고 커피 농사에서 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논문을 보면 나팔꽃(Ipomoea nil)의 영문명이 Japanese morning glory(일본나팔꽃)이다. 그럼에도
재배
역사를 기술한 걸 보니 8세기에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들여와 원예식물로 ‘용도변경’을 했다. 문득 ‘우리풀백과사전’에서 언급한 외국이 중국일까 일본일까 궁금해진다. 류시화 시인이 번역하고 ... ...
[때와 곳 18] 국수집: 입맛이 자리 잡는 곳
2017.08.19
그 역사의 원천은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 기원전 7000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재배
되던 야생종 밀이 기원전 1~2세기경에 서아시아로 연결된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으로 건너갔다는 것이다. 그 밀로 처음에는 수제비 형태로 만들어 먹다가 가늘고 긴 형태의 면발로 만들어 먹었던 것은 ...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인은 쌀을 주식으로 먹습니다. 높은 기온과 풍부한 강수량이 벼를
재배
하기 알맞지요. 쌀에 풍부한 탄수화물은 침에 섞인 아밀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됩니다. 쌀이 주식인 사람이 아밀라아제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인 AMY1의 개수가 더 많다는데요. 나다니엘 도미니 교수의 ... ...
혈액으로 암 진단? 2017년 떠오르는 10대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이미징 기술을 결합, 식물의 생장 정보를 실시간 수집 및 분석한다. 이를 농작물
재배
에 적용하면 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토양의 상태와 습도, 온도, 감염, 해충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최적의 방법으로 농사를 짓도록 한다 (☞스마트폰으로 사진만 찍어도…인공지능이 토마토 크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