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빠
부친
아버님
아바
조상
애비
아비
뉴스
"
아버지
"(으)로 총 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생체시계' 가진 생쥐로 파킨슨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분야를 넒히고 있다며 말했다. 혼마 교수는 아시아의 대표적 일주기리듬 연구자로,
아버지
혼마 사토 홋카이도대 의대 명예교수의 뒤를 이어 2대째 이 주제를 탐구하고 있다. 학술대회 진행을 맡은 김경진 한국뇌연구원장은 "
아버지
혼마 교수는 독일에서 일주기리듬을 학문으로 정립하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절대 잊히지 않는 기억
2018.10.07
급우일 수도 있고, 군 시절 괴팍한 고참일 수도 있습니다. 술 마시고 행패를 부리던
아버지
가 될 수도 있고, 내키는 대로 손찌검을 일삼던 어머니일 수도 있습니다. 늘 성적과 외모로 비교 당하던 형제 자매이기도 합니다. 물론 심각한 학대와 차별의 경험은 마음의 큰 상처가 되어 잘 치유되지 ... ...
"나는 보았습니다. 암치료가 얼마나 고통인지를"…노벨수상자의 슬픈 가족史
과학동아
l
2018.10.02
작은 농촌 마을에서 삼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안과와 이비인후과 전문의이던
아버지
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생물학을 유독 좋아했다. 그가 11살이 되던 해 어머니가 혈액암 중 하나인 림프종으로 세상을 떠났다. 앨리슨 박사는 “어머니가 수년 간 방사선 치료를 받았는데 몸이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작품들도 소개했다. 1935년 스웨덴 영화 ‘스웨덴이엘름가(swedenhielms)’는 과학자인
아버지
가 노벨상을 수상해 가계를 일으키길 간절히 바라는 가족들을 익살스럽게 묘사했다. 노벨상을 수상하면 상금 900만 크로나(약 11억 2400만 원)가 주어진다. 1963년 영화 ‘더 프라이즈’의 마지막 장면에선 노벨상 ... ...
인류 최초로 달 밟은 닐 암스트롱 유품 3000점 경매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11월 경매에 나올 예정이다. - 헤리티지경매 제공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평범한
아버지
로서의 암스트롱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물품들도 경매에 나올 예정이다. 두 아들은 이날 암스트롱이 어린 아들들을 위해 쓴 것으로 보이는 쪽지를 공개했다. 이 쪽지에는 “부활절 토끼야 우리의 부활절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진행된다는 말이다. 이후 클라이트만은 대학원생 윌리엄 디먼트(훗날 ‘미국 수면의학의
아버지
’로 불린다)와 함께 추가 연구를 통해 렘수면일 때 꿈을 꾼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1953년 잠이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이뤄져 있고 대략 90분 주기로 반복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잠의 구조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수 있습니다.
아버지
의 숫자가 늘어납니다. 큰
아버지
와 작은
아버지
, 외삼촌 등 여럿의
아버지
가 생깁니다. 고모나 이모 등 ‘어머니’의 숫자도 확 늘어나죠. 형제자매의 규모도 갑자기 불어납니다. 형도 많아지고, 누이도 많아집니다. 핵가족이 보편화된 현대 사회에서, 전래의 대가족 집단의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일부일처제는 인간의 본성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흔히 인류학자나 진화학자들은 일부일처의 기원 후보로 세 가지를 꼽았다. 먼저
아버지
가 어머니와 함께 자식을 키우는 일명 ‘부성애’다. 먹이를 먹이거나 돌보는 행위에 수컷이 가담한다. 새끼가 크는 데 어미의 애를 많이 먹이는 동물일 경우 유용하다. 두 번째는 수컷(
아버지
)이 자식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기는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익숙하기 때문에 제3자의 DNA와 만나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정상적인 수정에서도
아버지
로부터 온 외부 DNA를 만나기 때문에 세 부모 아이 치료로 미토콘드리아가 새로운 어머니의 DNA를 만나더라도 잘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미토콘드리아가 외부 유전자에 ... ...
[표지로 읽는 과학]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12만년 전 피를 섞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8
또 이소녀의 어머니는 약 12만 년 전 먼 서유럽에서 온 네안데르탈인의 후손이며,
아버지
역시 먼 조상 중에도 네안데르탈인이 최소 한 명 이상 있는 ‘혼혈’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슬론 연구원은 “40만년 전 두 종이 분리된 뒤, 최소 약 30만년이 지났을 때부터 서로 만나 교류가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