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질
품질
성질
재질
속성
품계
여성 성기
d라이브러리
"
질
"(으)로 총 5,005건 검색되었습니다.
[파고캐고 지
질
학자!] 석회암에 찍힌 네모난 자국의 정체는? 태백 구문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강원도 태백시에는 구문소라는 멋진 연못이 있습니다. ‘구문’은 구멍의 옛말로, 흐르는 강이 절벽에 구멍을 뚫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멋진 모습으로 조 ...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
질
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특집] 브릭 작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어떻게 얻으시나요?A. 처음부터 세상에 없는 새로운 걸 만들겠다고 생각하면 어렵게 느껴
질
거예요. 주변에 있는 사물을 브릭으로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자주 봤던 것, 흥미가 생기는 것부터 조금씩 만들다 보면 자연스럽게 아이디어를 더하고 싶은 부분이 생길 거예요. 자신만의 이야기를 작품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것 같아요. 점차 AI가 확산되고 AI의 창작 활동이 자연스러운 현상이 된다면 불쾌감이 사라
질
것 같아요. 산업혁명이 일어났을 때도 기계에 반발한 수공업자들이 기계를 파괴하는 ‘러다이트 운동’을 펼쳤잖아요. 어떤 사회의 역사적인 흐름에서 반대하는 사람들이 존재하지만 어떤 기술의 발전은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과학지식이 선진국을 넘어 경제개발국으로 이전돼야 하나요?” 급진적일 수 있는
질
문에 가프니는 한 마디로 대답했다. “네.”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는 기후변화가 낙후된 사회를 더 발전시키기 어렵게 만든다는 사실을 짚고 있다. 마샬 버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이 2015년 발표한 논문은 이를 ... ...
한눈에 보는 STEAM 교과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
질
거예요! ...
[에디터 노트] 개성 넘치는 요리사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손에 들어가면 금세 완성됩니다. 요리사들이 가진 개성을 알면 음식이 더 새롭게 느껴
질
겁니다. 독자분들도 한 분 한 분 알고 싶어요. 저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각자 개성 넘치는 인물들일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런 잡지(?)를 재밌게 보지 않을 것 같거든요. 내년에는 여러분의 이야기로 ... ...
[인터뷰] 미래모빌리티의 모든 것을 배웁니다 - 국민대학교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미래모빌리티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2030년에는 이 분야에 10만 명 이상의 인력이 필요해
질
전망이다. 양 주임교수는 “자동차융합대학 입학생들도 미래자동차 -미래모빌리티 연계 전공을 이수할 수 있다”며 “인류의 미래에 기여하겠다는 큰 꿈을 가진 학생들의 많은 관심 바란다”고 말했다 ... ...
한눈에 보는 STEAM 교과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
질
거예요! ...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울산 앞바다에 해저 도시를 본격적으로 짓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죠. 미래에 지어
질
해저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Part1.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Part2. [특집] 해저 도시 로봇이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구분하기도 합니다. 심해는 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여겨집니다. 수심이 10m 깊어
질
때마다 수압이 1기압씩 높아지는 데다, 햇빛이 없어서 수온도 낮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빛이 없어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없으니, 심해 생물들에게 필요한 영양분도 부족하지요. 그래서 바다 얕은 곳에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